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상법 개정안 주요 내용 / 공영방송 사장 국민이 추천

정책 포커스 수시 방송

상법 개정안 주요 내용 / 공영방송 사장 국민이 추천

등록일 : 2025.09.12 13:45

*3차 상법 개정 본격화···무엇이 바뀌나

차현주 앵커>
최근 기업 활동 전반을 규율하는 상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2차 개정안이 통과된 데 이어, 3차 개정안 논의도 본격화되면서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상법 개정의 주요 내용과 기대효과에 대해 자본시장연구원 황세운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황세운 /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차현주 앵커>
기업 활동 전반을 규율하는 상법 최근 2차 개정안이 통과됐습니다.
자세한 이야기에 앞서 상법 개정이 왜 논의되기 시작했는지 그 배경을 먼저 설명해 주시죠.

차현주 앵커>
1차 상법 개정안 통과된 데 이어 지난달 2차 상법개정안이 통과됐습니다.
1차와 2차 개정 내용에 대해 각각 자세히 설명해주시죠.

차현주 앵커>
2차 상법개정 주요 내용 중 하나로,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이고, 이렇게 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차현주 앵커>
또한 2차 상법 개정에서 감사위원 분리 선출을 기존 1명에서 2명으로 확대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차현주 앵커>
1차 상법 개정에 포함된 '전자 주총 의무화'가 추진되면 소액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힘이 실릴까요?

차현주 앵커>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명문화' 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이게 실현되면 어떤 법적 책임 구조가 생기며, 실제 경영진에게 어떤 부담이 되나요?

차현주 앵커>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3차 상법 개정안이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추진 배경과 내용은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이번 개정이 소액주주의 권리 보호에 어떻게 실질적으로 도움으로 이어질까요?

차현주 앵커>
한편, 기업 입장에서는 이 개정안이 경영권 침해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차현주 앵커>
상법 개정을 계기로, 국제 금융시장의 주요 기준인 MSCI 선진국지수 편입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오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1차 상법 개정 이후 국내 증시에 들어온 외국인 매수세에도 이목이 쏠리는데요.
긍정적 영향이 미쳤을까요?

차현주 앵커>
이번 상법 개정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얼마나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차현주 앵커>
상법 개정, 남은 과제는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자본시장연구원 황세운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방송법 개정' 달라지는 점은?

차현주 앵커>
최근 방송의 정치적 중립성과 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송법 개정안이 의결됐습니다.
이번 개정으로 공영방송 지배구조가 전면 개편되는데요.
방송법 개정안 주요 내용과 기대 효과에 대해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이창현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이창현 /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차현주 앵커>
대통령실은 방송법 개정을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의 첫걸음이라 밝혔습니다.
관련 발언 먼저 듣고 오시죠.

차현주 앵커>
최근 방송법 개정안이 모두 의결됐습니다.
이러한 개정의 배경과, 지금 시점에 이뤄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KBS 지배구조가 38년 만에 개편됐습니다.
공영방송 이사 수가 확대된 것인데요.
어떤 변화가 있나요?

차현주 앵커>
이번 방송법 개정을 통해 공영방송 사장을 국민이 직접 뽑는다고 하는데요.
관련 발언 듣고 오시죠.

차현주 앵커>
KBS 사장 선출 과정에 국민 100명 이상이 참여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이러한 취지와 기대효과는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이번 개정안에는 방송 편성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노사 동수로 편성위원회를 구성한다는 내용도 있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차현주 앵커>
보도국 책임자를 구성원 과반수 동의로 임명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차현주 앵커>
일각에서는 사장의 인사권을 침해한다는 의견도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EBS 이사 수 조정과 사장 선임 절차의 명문화가 이루어졌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설명해주시죠.

차현주 앵커>
방송통신위원회 정상화도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할까요?

차현주 앵커>
이번 개정안에는 방송문화진흥회 관련 개정 내용도 있습니다.
MBC 지배구조와 관련해 어떤 변화가 있나요?

차현주 앵커>
영국 BBC나 일본 NHK 같은 해외 공영방송과 비교했을 때, 이번 방송법 개정안은 어떤 점에서 비슷하고, 또 어떤 차이가 있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방송 개혁의 최종 목적은 결국 시청자 권익 강화일 텐데요.
앞으로 남은 과제는 무엇일까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이창현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