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롤로그 & K-컬처의 세계 확장
- 전 세계에서 열광하는 K-POP 행사 현장과 해외 팬들의 인터뷰
- 글로벌 음악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는 K-POP의 의미
- 광복 80년 우리나라 대중음악사에서 찾는 K-POP의 뿌리
2. 전쟁 직후,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사
- 1950년대 전쟁의 폐허에서 국민의 위로가 되어준 음악
- 미8군 중심으로 발달한 '팝 계열' 음악 장르 및 미8군 출신 가수들
- 원조 걸그룹 '김시스터즈' 등 해외 진출 사례
- 극장 발달을 계기로 미8군 무대가 쇼 음악이 점차 대중화
3. 7080 대중음악의 본격적인 발달
- TV가 보급되며 가정에서도 음악이 생활 속으로 확산
- 방송국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 및 각종 가요제로 대중음악 발달
- 국제 가요제 등으로 해외 음악 시장과 교류하며 음악적 다양성 확대
- 트로트에 서양 음악을 더한 음악적 시도로 가왕이 된 조용필 사례
4. 1990년대 대중음악의 황금기
-문화적 빗장이 풀리는 계기가 된 해외여행의 대중화
- 젊은 음악가와 유학생들이 최신 해외 음악 트렌드를 접하며 직접적 유입
- 통신망의 발달로 휴대폰과 개인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
-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특징인 '팬덤'이 형성되며 음악 산업의 주체로 등장
-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및 H.O.T 등 1시대 아이돌들이 데뷔하며 팬덤 규모 확장
- 대형 기획사를 중심으로 '아이돌'을 만드는 산업화 기반을 다지기 시작
5. 2000년대 해외 음악 시장 진출의 초석
- 2001년 보아가 세계 2위 음악 시장인 일본의 오리콘차트 1위 진입
- 2009년 원더걸스가 한국 최초로 빌보드 차트에 진입
- 스마트폰과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이 활성화되며 새로운 시장 흐름 시작
-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공개되며 세계 최초 조회수 10억 회 돌파
- 빌보드 2위 기록 달성한 <강남스타일>이 바꾼 세계 음악 시장의 판도
- 빌보드 차트 집계 기준이 변화하며 동영상 조회수도 집계 기준으로 포함
6. D-DAY 2018.6.2 BTS 빌보드 차트 1위
- 80여 년간 쌓인 대중음악의 역사와 가수들의 노력이 빛을 발한 순간
- 한국어 가사로 된 BTS 노래가 빌보드 차트 1위 달성
- BTS가 빌보드 차트 연속 1위 행진을 이어가며, 우리나라에도 미친 경제적 파급 효과
- 팬코노미, BTS 특수 등 우리나라 내수 경제에 미친 영향력 소개
7. 확장하는 K-POP 산업
- '마이 케이 페스타'에 K-POP 공연을 보러 한국을 찾은 외국인들
- 한국 대중음악 특유의 퍼포먼스와 가사에 관심을 보이는 외국인 관광객 인터뷰
- '마이 케이 페스타'에서 우리나라 문화와 산업을 알리는 전시&컨퍼런스도 진행
- 2억 명이 넘는 전 세계 한류 팬들의 동호회 중 약 68%가 K-POP 동호회인 수준
- 해외 K-POP 팬들이 14년째 여는 아르헨티나의 'K-POP' 행사 현장
- K-POP 가수들을 아르헨티나로 초대하고 싶어서 열기 시작한 행사의 열기 취재
- 최근 글로벌 인기를 끈 <케이팝 데몬 헌터스> 코스프레, 굿즈 등 현장 취재
8. 에필로그, 차세대 K-POP 산업을 향해
- 세계 무대를 목표로 하는 신인 걸그룹의 연습 현장 취재 및 글로벌 포부 인터뷰
- 80년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며 성장한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의의
- 지속 가능한 문화로 나아갈 미래 제언 및 기대 인터뷰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