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이어 유럽연합도 수입 철강에 최대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우리 철강업계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데요.
정부는 통상채널을 총동원해 대응하고,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현지시간으로 지난 7일 EU 집행위원회는 기존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를 대체할 새로운 저율관세할당(TRQ) 제도 도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모든 수입산 철강 제품에 연간 수입 쿼터를 기존보다 47% 줄어든 1천830만t으로 제한하고, 수입 쿼터 초과 물량의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합니다.
녹취> 마로스 세프코비치 / EU 무역 담당 집행위원
"(쿼터) 초과 물량에 대해서는 50%의 징벌적인 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유럽 경제 지역(EEA) 파트너 국가들을 제외한 모든 제3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이 제도에 적용됩니다."
EU가 철강 최대 수출시장인 한국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부는 박종원 통상차관보 주재로 철강업계와 EU 철강 수입 쿼터 도입 관련 대응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EU가 쿼터 물량 배분 시 FTA 체결국을 고려하겠다고 밝힌 만큼, 통상 채널을 총동원해 대응에 나섭니다.
국내 업계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공식, 비공식 협의 채널을 적극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WTO와 한-EU FTA상 적절한 채널 활용도 지속적으로 검토할 계획입니다.
수출기업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금융 지원책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과 철강·비철금속 관련 기업 대상의 '이차보전사업'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근본적인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이달 중 관계 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대책에는 글로벌 공급과잉에 대응한 품목별 지원책과 반덤핑 등 불공정 수입 대응 강화 방안이 담길 예정입니다.
또한,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고부가가치 전환 투자 지원 확대 방안과 철강 상-하 공정 간 상생협력 확대로 근본적인 산업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한편, 회의에 참석한 철강업계 관계자들은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전 세계로 확산하는 데 깊은 우려를 표하며 정부의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을 요청했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