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성수품 가격 안정세···1~5일 온누리상품권 환급 [뉴스의 맥]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성수품 가격 안정세···1~5일 온누리상품권 환급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10.01 19:56

김경호 앵커>
추석 연휴 기간 성수품 공급 상황도 알아보겠습니다.
최유경 기자, 주요 성수품 물가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현재 성수품 공급 상황은 어떻습니까?

최유경 기자>
네, 정부는 올해 추석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총 17만 2천 톤 공급하게 됩니다.
이중 농축산물이 15만 8천 톤, 수산물이 1만 4천 톤이고요.
특히 사과와 배, 단감 등 주요 농산물은 평시보다 2.6배 더 공급됩니다.
주요 성수품 공급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9월 30일 기준, 하루 동안 농축산 분야 성수품은 9천 286톤 공급이 목표였는데, 9천 879톤이 공급됐습니다.
달성률로 따지면 106% 정도, 초과 공급된 거고요.
이에 따라 성수품 물가도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에서, 추석 전주 기준 지난해보다 올해 주요 성수품 소매 가격이 1.8%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경호 앵커>
성수품 가격 동향 살펴봤는데요.
그럼 명절 장보기 비용은 어느 정도로 예상되나요?

최유경 기자>
네, 먼저 이번 명절 장보기 비용은 지난해보다 낮아졌습니다.
추석 3주 전 전통시장에서 팔리는 제수용품 35개 품목 가격을 확인해봤는데요.
4인 기준 평균 29만 9천 원이었습니다.
30만 원을 웃돌았던 지난해보다 1.2% 정도 떨어진 겁니다.
추석 상차림 비용이 20만 원대로 내려간 건 4년 만입니다.
또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비용을 비교했을 때는 시장이 더 저렴했습니다.
소상공인 시장진흥공단도 지난달 8일부터 15일까지 제수용품 27개 품목 가격을 조사했는데요.
4인 기준 전통시장은 평균 29만 8천 원, 대형마트는 37만 3천 원 수준으로, 시장이 마트보다 20% 가까이 낮았습니다.
다만 품목별로 차이는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과일과 나물, 채소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요.
쌀과 부침가루, 식혜 등 가공식품은 마트가 더 저렴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채소류는 시장에서, 가공식품은 마트에서 더 저렴하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마트와 비교해서 전통시장만의 혜택은 없을까요?

최유경 기자>
네, 정부가 명절에 앞서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대목을 맞아 시장에는 활기가 돌고 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인터뷰> 서희숙 / 대전 정원시장 상인
"아침부터 (손님들) 많이 왔어요. 줄 섰어요. 북어포, 밤, 대추 이런 산소에 가져갈 제사용품 많이 사 가셨어요."

인터뷰> 김상조 / 대전 가오동 주민
"콩나물하고 고사리, 호두 샀어요. 떡은 이제 명절 바로 전날 해야죠.“

5일까지 시장에서 국산 농축수산물을 구매하면 구매액의 최대 30%를 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3만 4천 원 이상 샀다면 1만 원을, 6만 7천 원 이상부터는 2만 원을 받을 수 있고요.
농축산물 2만 원, 수산물 2만 원씩 최대 4만 원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장 볼거리가 많다면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팁이 될 수 있겠습니다.
환급행사는 닷새 동안 전국 200여 개 시장에서 실시됩니다.
참여 시장은 '농축산물 할인지원'과 '수산대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장 현장에 마련된 환급 부스를 방문하시면 되고요.
신분증과 구매 영수증이 필요합니다.

김경호 앵커>
네, 환급금이 상당하니까 전통시장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연휴 기간에 배달앱을 사용하면 혜택을 준다고요?

최유경 기자>
네, 맞습니다.
정부가 이번 명절 기간 공공배달앱 혜택도 확대합니다.
공공배달앱은 소비자의 외식비 부담을 덜고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낮추기 위한 정부 추진 사업인데요.
기존에는 공공앱으로 2만 원 이상 2번 주문해야 1만 원 할인쿠폰을 지급했는데요.
10월 1일부터는 2만 원 이상 한 번만 주문해도 5천 원을 바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긴 연휴 매일 집밥이 부담스러우신 분들은 이 배달앱 혜택 챙겨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김경호 앵커>
혜택 잘 챙기셔서 알뜰하고 풍성한 한가위 보내시면 좋겠습니다.
최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