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이처럼 협상 마감을 앞두고 협상장은 긴장이 감돌았습니다.

오후 한 때는 협상시한이 연장됐다는 학인되지 않은 소식에 협상장 주변이 술렁이기도 했습니다.

박영일 기자>

협상 종료 시간을 불과 10여 시간 앞둔 협상장은 극도의 긴장감으로 둘러싸였습니다.

협상장에 들어서는 협상단의 발걸음은 분주했지만 좀처럼 다문 입을 열지는 않았습니다.

들을 수 있는 말이라곤 ‘어렵다’와 ‘지금은 말할 수 없다’가 전부.

한국 협상단이든 미국 협상단이든 입장은 같았습니다.

오후 3시쯤 이 같은 긴장감은 극에 달했고, 미국측이 협상 시한을 4월 2일까지로 연장하자고 제안했다는 말이 나오면서 협상장은 혼란을 겪었습니다.

급기야 청와대가 협상시한 연장은 없다고 못박아 사태를 진화했습니다.

미 무역대표부 대변인 역시 미국이 협상시한 연장을 요청한 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한차례의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협상장 안팎에서는 미국측이 제안을 한 뒤에 거둬들인 것이 아니냐는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협상시한을 연장할 경우 미국측은 미련이 남은 쌀과 쇠고기 등에 대해 더 많은 요구를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만일 미국측이 이같은 제안을 했고 우리측이 단호하게 거절한 것이라면,일단 덜주고 더받기 위한 막판 기싸움에서 우리측이 한층 유리한 입장에 서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