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화의 가치 하락으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가 원/엔 환율 하락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정책 자금 상환을 유예해주기로 했습니다.
장혜진 기자>
지난해말 100엔에 858.5원이던 엔화가 올해 10월말 803.1원으로 하락하고 11월 21에는 792.4원을 기록하는 등 원/엔 환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저수준으로 하락하면서 대일 수출경쟁력 악화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습니다.
특히 엔/달러는 보합세를 보이고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출 중소기업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따라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주재로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원/엔 환율 하락 등에 대응한 수출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지원방안에 따르면 환율 하락으로 일시적인 경영난을 겪고 있는 수출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정책자금 상환이 최대 1년 6개월 까지 유예됩니다.
또 올해말까지인 수출중소기업 특례보증기간을 내년 연말까지 연장하고 특례보증한도도 전년도 매출액의 1/2에서 직전 4분기 또는 전년도 매출액의 1/2로 개선했습니다.
기업은행의 수출중소기업 특별자금 대출 기간도 당초 올 연말에서 자금소진 때까지로 연장하고 지원대상이 수출비중 50%이상 에서 20%이상 중소기업으로 완화됩니다.
정부는 특히 중소기업의 환수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장환율을 기준으로 환율이 하락할 때는 보험금을 전액 지급하고 환율 상승때는 환수금을 완전 면제해주는 ‘신규 옵션형 환변동 보험상품’ 도입을 추진키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와함께 내년 상반기부터는 환 위험 관리를 잘한 중소기업에는 수출금융자금 지원이나 해외전시회 파견업체 선정때 `인센티브`를 주고, 수출초기 중소기업이 해외 전시회에 참가할 경우 참가비용의 50%수준을 국비로 지원했던 것을 70%까지 높여 중소기업들의 수출경쟁력 강화에도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