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W` NAFTA 보도, 균형 잃은 시각
언론 다시 보기 시간입니다.

지난 15일 밤 방송된 MBC 프로그램 `W`는 `깨어진 약속, 캐나다 FTA`라는 제목으로 NAFTA가 캐나다에 미친 영향을 보도했습니다.

NAFTA가 캐나다 경제에 미친 많은 긍정적 측면을 외면한 채 일부분에 해당하는 부정적 면모에만 집중하는 등 균형을 잃은 보도태도라는 지적입니다.

기자>
MBC `W`는 NAFTA 이후 캐나다가 생산직이 사라지고 임시직이 증가해 고용 불안정이 심화됐고, 홈리스와 빈곤층이 증가하는 등 사회복지가 크게 후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NAFTA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이라던 브라이언 멀루니 전 수상의 말은 깨어진 약속이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캐나다 경제 관련 자료를 조금만 구해봐도 W가 캐나다의 실상이라고 보여준 것은 `캐나다`라는 코끼리의 몸통 전체가 아니라 작은 신체 일부분에 불과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캐나다의 경제성장률은 89~93년 0.8%까지 떨어졌지만, NAFTA 체결 이후인 94~2005년에는 3.4%로 높아졌습니다.

반면 실업률은 1980~93년 9.7%까지 올라간 상태였지만 NFTA 체결 이후인 94~올해까지 8.1%로 떨어졌습니다.

일자리의 경우 NFTA 이후 파트타임 근로자가 는 것은 사실이지만 같은 기간에 근로인구 전체가 늘어난 만큼 중요한 점은 파트타임 근로자의 비율.

1993년 19.2%에 달하던 파트타임 근로자의 비율이 지난해 18.3%로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W가 주장한 양극화 심화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캐나다의 지니계수 변화 추이로 볼 때 소득불균형이 다소 늘어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똑같은 NAFTA 체결국인 멕시코는 오히려 소득불균형이 현저히 줄어드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캐나다의 소득격차가 NAFTA때문이라는 주장 또한 신빙성을 갖기 힘들어지는 이윱니다.

캐나다 프레이저 연구소의 프레드 맥마흔 사무국장은 국정브리핑에 직접 기고한 글을 통해 `캐나다의 무역협정을 비판하는 세력들은 흥미롭게도 무역에 관한 얘기는 피하면서 그와 관련이 없거나 옳지않은 일련의 주장만을 되풀이한다`고 지적하고 `캐나다 경제성장에 크게 이바지한 미-캐나다 무역협정이 한국국민을 호도하는 반시장 세력에 의해 고의적으로 왜곡되고 있다는 사실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처음부터 한쪽으로 치우쳐 아예 기울어버린 저울은 저울의 구실을 할 수가 없다는 평범한 진리가 되새겨지는 대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