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국무총리는 지난 4일 일부 지식인들이 발표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반대 성명은 사실 관계를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작권 환수는 한미 양국이 충분히 협의한 결과며 국민들에게 상세히 설명하면 오해가 풀릴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는 이미 미국 측과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한반도 안보를 보장한다는 원칙아래 이뤄지는 것이다.“
한명숙 총리가 지난 4일 일부학자들이 전작권 환수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사실 관계를 오해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올 해 10월 말에, 한미연례안보협의회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결과를 국민들에게 소상히 설명할 것이며 그러면 국민들의 우려도 모두 해소될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한 총리는 최근 다시 불거진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대처하고 외교적으로 대응할 부분이 있으면 그렇게 하겠다며 단호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또 동북아역사재단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면 우리나라에 대한 학술적 연구평가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비전 2030과 관련해서는 미래 한국 사회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재원문제 보다는 어떤 미래를 설계해 나갈 것인지 구체화하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비전 2030의 실현을 위해 총리실을 중심으로 50개 핵심관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