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동아일보 동북공정 보도 관련 외교부 입장

KTV 국정와이드

동아일보 동북공정 보도 관련 외교부 입장

등록일 : 2006.09.07

언론 다시 보기 시간입니다.

고조선에서 발해에 이르는 우리역사를 송두리째 왜곡하고 있는 중국의 이른바 동북공정이 갈수록 도를 더해가고 있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그런데 한쪽에선 정부가 중국의 역사왜곡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최근 동북공정의 일환인 청나라 압록강지역 연구에서 백두산 주변이 모두 중국 영토라고 주장했습니다.

고조선부터 발해에 이르는 역사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고 한강유역까지 중국 영토라는 터무니없는 주장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국내 일부언론은 정부가 중국의 역사왜곡 사태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며 사실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정부가 지난 2004년 8월 한중간 구두양해사항 합의 이후 중국에 정치적 외교적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습니다.

외교부는 즉각 반론보도를 통해 사실을 바로잡았습니다.

정부는 그간 외교적 대응 방안으로 지난 11월 한중 정상회담을 비롯해 외교장관 회담 등 각종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 측에 구두양해사항 합의에 따라 추가 왜곡 금지는 물론 기존 왜곡사항에 대한 시정조치를 꾸준히 촉구해 왔습니다.

지난 2004년 이후 정부의 시정촉구로 중국 정부와 신화통신의 홈페이지에서 왜곡사실이 고쳐진 적이 있다고 외교부는 밝혔습니다.

이행현황 점검을 위한 회의 실적이 지난해 단 두 차례뿐이었다는 동아일보 지적에 대해 외교부는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반박했습니다.

한중간 고구려사 문제가 발생한 이후 정부는 대책수립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 대책회의를 그간 17차례 이상 개최했고 올해에만 3차례 개최해 대책을 협의했다고 것입니다.

외교부는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해 철저히 검토한 후 외교적 대응을 하는 한편, 동북아 역사재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술적 연구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