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끊는 남성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성인 남성 흡연율이 계속해서 하락해 현재 47.5%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3월 흡연율 조사에서 처음으로 5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보건복지부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인 남성 흡연율은 47.5%로 지난 3월보다 1.7%포인트나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04년 9월 57.8%와 비교하면 10.6%포인트나 감소한 수치입니다.
여성 흡연율도 지난 3월 3.3%에서 0.9% 포인트 하락한 2.4%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흡연율이 계속 줄고 있는 것은 지난 2004년 12월 담배가격이 500원 오른 효과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복지부는 또, 가격 정책 외에도 다양한 금연홍보와 교육, 금연구역 확대 등의 정책도 흡연율 감소에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 금연 클리닉과 금연 상담전화 등 금연서비스의 이용률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흡연자의 7.0%가 보건소나 의료기관 등을 통해 금연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금연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대되기 이전에 비하면 획기적으로 증가한 수치입니다.
복지부는 연간 4만 2천명이 흡연으로 사망하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10조원 이상이라고 지적하면서 2010년까지 성인 남성 흡연율을 30%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담배가격을 인상하고 면세담배를 폐지하는 등의 가격 정책을 펼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담배 경고문구를 강화하고, 담배 광고와 판촉행위에 대한 규제의 수위도 높일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