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7월, 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
공무원하면 국민의 봉사자라는 명예와 함께 이른바 ‘철밥통’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오는 7월, 고위 공무원단 제도가 도입되면 공무원 사회에 일대 변화의 바람이 거세게 불 것으로 보입니다.

경쟁 없이는 생존도 없다. 1~3급 공무원 계급은 이제 추억 속으로 사라집니다.

복지부동하는 공무원이라는 오명을 벗고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경쟁을 유발하기 위해 고위공무원단제도가 오는 7월1일부터 전면 도입됩니다.

중앙행정기관의 1-3급과 외무직 공무원, 지자체와 지방교육청에 근무하는 국가직 공무원, 그리고 직무와 교육으로 파견 중인 공무원도 포함됩니다.

인원수는 약 1500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위공무원단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우선 후보자 교육과정과 역량 평가를 거쳐야 합니다.

고위 공무원단에 진입한 뒤에도 해마다 5개 등급의 평가를 받게 돼 성적이 나쁘면 탈락할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제도의 가장 특징은 직무급이 신설된다는 점입니다.

과거 계급제와 달리 철저한 직무분석을 통해 1~3급 직위의 직무를 곤란도와 책임 정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차등화합니다.

이에따라 같은 고위공무원단 내에서도 직무의 난이도에 따라 해마다 최대 960만원까지 보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이와함께 고위직의 개방과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민간부분과 경쟁선발하는 개방형 직위를 전체의 20%로 하고 부처간의 경쟁선발하는 공모직위를 30%로 정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이번 고위공무원단제도 도입으로 우려될 혼란을 막기 위해 오는 6월중으로 세부사항을 완료해 제도의 안정적 출범에 만전을 기한다는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