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병역지정업체, 그린뉴딜·소부장 기업 등 우대
박성욱 앵커>
병무청은 병역지정업체 선정에, 그린뉴딜 관계 기업과 소재, 부품, 장비 전문 기업을 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내년도 인원 배정은 만 4천명으로, 현역입영대상과 보충역 소집 대상자는 각 7천 명입니다.
병역지정업체 선정과 인원배정을 희망하는 경우, 다음 달 30일까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등 추천 기관에 신청하면 됩...
-
국민 70% '접종 의향'···내일부터 얀센백신 예약
김용민 앵커>
최근 코로나19 인식조사결과 국민 10명 중 7명은 백신을 맞을 의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내일부터 미국에서 제공하는 얀센백신에 대해 접종 사전예약이 시작됩니다.
자세한 내용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430명으로, 이틀째 400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역발생 411명, 국외유입 1...
-
폭염·자외선지수 '날씨알리미 앱'으로 확인
김용민 앵커>
기상청이 원하는 지역의 폭염 예보와 자외선지수까지 알려주는 서비스를 오늘부터 시작합니다.
날씨알리미 앱을 설치하면 누구나 날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상청이 다양한 기상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날씨알리미 애...
-
"얀센 포함 상반기 1천300만명 이상 접종 가능"
박천영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400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혜진 기자! 우선 국내 확진자 현황부터 전해주시죠.
이혜진 기자>
(장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네, 오늘(31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어제(30일) 하루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모두 430명...
-
폭염·자외선지수 '날씨알리미 앱'으로 확인
박천영 앵커>
원하는 지역의 폭염 예보와 자외선 지수까지 알려주는 서비스가 시작됐습니다.
기상청의 날씨 알리미 앱을 설치하면, 누구나 정보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상청이 다양한 기상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날씨알리미 애플리케...
-
4월 소비 2개월째 증가···산업생산은 하락
박천영 앵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4월 소매 판매액이 2.3% 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소매판매액지수는 120.5로 1995년 통계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산업 생산은 최근 반도체 호조 등의 기저효과로 제조업 생산이 일부 조정을 받으면서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
미 제공 얀센백신 100만명분···예비군 등 우선접종
박천영 앵커>
미국이 우리나리에 제공하기로 한 코로나19 얀센 백신이 이번주 들어옵니다.
물량은 당초 약속한 것보다 많은 100만 명 분인데요, 정부는 30세 이상 예비군 등 군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접종할 계획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한 번만 접종해도 코로나19 예방 효과를 낼 수 있는 얀센 백신.
남아공, 브라질...
-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05. 31. 14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05. 31. 14시)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박영준 /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미 제공 얀센백신 100만명분···예비군 등 우선접종
임보라 앵커>
최근 열린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미국이 우리나리에 제공하기로 한 코로나19 얀센 백신이 이번주 들어옵니다.
물량은 당초 약속 한 것보다 많은 100만명 분인데요, 정부는 30세 이상 예비군 등 군 관련 종사자 들을 대상으로 우선 접종할 계획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한 번만 접종해도 코로나19 예방 효과를 낼 수 ...
-
4월 소비 2개월째 증가···산업생산은 하락
임보라 앵커>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4월 소매판매액이 2.3% 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소매판매액지수는 120.5로 1995년 통계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산업생산은 최근 반도체 호조 등의 기저효과로 제조업 생산이 일부 조정을 받으면서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