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대북지원 중유 선적 시작
북한에 중유 5만톤을 제공키로 한 2.13합의에 따라 북에 보내질 중유 선적작업이 11일부터 시작됐습니다.
부산선적 제9한창호는 11일 낮 울산항에 도착해 대북 지원 중유 중 1차분 6천2백톤을 선적했습니다.
한창호는 12일 낮 부두에서 간단한 기념행사를 가진 뒤 함경북도 선봉항으로 떠납니다.
이번 대북 중유제공은 모두 5차례에 걸쳐 다음달 1일까지 ...
-
18일 개최
북핵 6자회담이 곧 재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북핵 6자회담의 18일 개최방안을 참가국들에 통보한데 이어서, 조만간 구체적인 일정을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경미 기자>
차기 6자회담이 오는 18일 개최될 것으로 보입니다.
6자회담에 정통한 외교소식통에 의하면 중국이 차기 6자회담을 다음 주 18일 개최하는 방안을 참가국...
-
대북지원 중유 선적 시작
북한에 중유 5만톤을 제공하기로 한 2.13합의에 따라 북한에 보내질 중유 선적작업이 11일부터 시작됐습니다.
부산선적 제9한창호는 11일 낮 울산항에 도착해 대북 지원 중유 중 1차분 6천2백톤을 선적했습니다.
한창호는 12일 낮 부두에서 간단한 기념행사를 가진 뒤 함경북도 선봉항으로 떠납니다.
이번 대북 중유제공은 모두 5차례에 걸쳐 다음달 1일까...
-
노무현 대통령, `IAEA 사무총장 접견`
노무현 대통령은 11일 오후 엘바라데이 IAEA 즉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북핵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시기에 방한한 것에 환영의 뜻을 전하고 IAEA와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지원해준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했습니다.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은 IAEA 사찰단의 방북을 통...
-
중국, `6자회담 18일 개최` 통보
북핵 6자회담이 18일 베이징에서 재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통한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의장국인 중국은 차기 6자회담을 오는 18일 개최하는 방안을 참가국들에게 통보했습니다.
중국이 제의한 회담방식은 수석대표회담이며 일정은 이틀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할 경우 하루 연장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22일 휴회한 6자회담이 약 4개...
-
IAEA 검증단, `이르면 14일 방북`
국제원자력기구가 북한 핵시설의 폐쇄를 감시하기 위한 사찰단의 방북을 공식 승인했습니다.
이르면 14일쯤에 방북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로써 2002년 사찰단이 북한에서 추방된 이후에 처음으로 정식 사찰단이 북한에 들어가게 됐습니다.
최고다 기자>
이르면 오는 14일, 늦어도 17일 쯤에는 9명의 IAEA 북핵 감시검증단이 북한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현...
-
상반기 남북간 선박운항 96.7% 증가
올해 상반기 남북 간의 선박운항 횟수가 지난해보다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일부는 올해 들어 6월까지 남북 간 선박운항 횟수가 남한에서 북한으로 운항한 횟수가 3천53회, 그 반대가 3천61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6.7%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주로 해로를 통한 북한산 모래 반입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주요 수송화물은 모래...
-
6자회담 재개 의사
북핵 6자회담이 18일 베이징에서 재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차기 6자회담을 오는 18일 개최하는 방안을 참가국들에게 통보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봅니다.
이경미 기자>
Q1> 차기 6자회담, 18일 개최가 유력한 것 같군요?
A> 네, 그렇습니다.
6자회담에 정통한 외교소식...
-
가시적 성과 기대
남북군사실무회담이 10일 판문점에서 열립니다.
북핵 문제 해결이 급진전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어지고 있는 만큼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석민 기자>
북핵 문제 해결이 탄력을 받으면서 남북관계는 어느때보다 좋습니다.
지난달 말 쌀 차관 40만톤의 북송이 시작 된데 이어 지난주에는 경공업.지하자원 개발에 대한 합의...
-
14일 방북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특별이사회를 열어서 북한 핵시설의 폐쇄와 봉인을 검증·감시하기 위한 IAEA 사찰단의 방북을 승인했습니다.
이에따라 2002년에 IAEA 사찰단이 북한에서 추방된 이후 처음으로 IAEA 정식 사찰단이 북한에 들어갈 수 있게 됐습니다.
최고다 기자>
이르면 오는 14일, 늦어도 17일 쯤에는 9명의 IAEA 북핵 감시검증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