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행이 중단된 지 56년 만에 열차가 남북을 가로질러 휴전선을 넘게 됩니다.
남북은 장성급 군사회담을 통해 17일 열차시험운행을 위한 군사보장 잠정합의서와 5개 항의 공동보도문을 채택했습니다.
국방부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강석민 기자>
Q> 일정을 하루 넘기는등 진통끝에 나온 공동보도문인데요,어떤 내용이 담겼습니까?
A> 남북은 11일 오후 5시30분 제5차 장성급 군사회담 종결회의를 열고 열차시험운행을 위한 군사보장 잠정합의서와 5개항의 공동보도문을 채택했습니다.
이에 따라 양측은 남북관리구역 철도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각각 10m 구간의 군사분계선을 17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임시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남북 열차시험운행구간은 동해선의 경우 금강산역에서 제진역까지, 경의선은 문산역에서 개성역까지로 했습니다.
양측은 또 공동보도문을 통해 철도.도로 소통을 위한 항구적인 군사보장 합의서를 채택하는 문제도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Q> 그밖에 남측이 차기회담에서 어떤 부분을 협의하기로 했나요?
A> 앞서 전해드린대로 남측이 강력히 요구한 철도.도로 통행의 군사적 보장합의서 채택 문제는 양측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는 문구를 공동보도문에 반영하는 선에서 마무리하고 차기 회담으로 넘겼습니다.
또 서해상에서 군사적 충돌을 막고 공동어로를 실현하는 것이 군사적 긴장완화와 평화를 정착하는데 시급한 과제라는데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이를 위해 공동어로 실현과 군사적 충돌방지대책 그리고 서해상 군사신뢰 조성 정도에 따라 북측 민간선박의 해주항 직항 문제를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해주항 직항 문제는 북측 선박이 서해 해주항으로 직항하려면 연평도 북방한계선을 가로질러야 하기 때문에 다소 논란의 가능성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남북은 이번 회담에서 임진강 수해방지,한강하구 골재채취사업의 군사적 보장조치 협의등을 통해 기존 서해 내에서 적대활동 금지 문제에 국한됐던 장성급회담 의제를 포괄적인 경제협력사업까지 확대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