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회
-
레디코리아 2차 훈련···집중호우 지하철역 침수 대응
모지안 앵커>깊은 지하 공간에 있는 도시철도 역사는,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이런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한 대응과 대피 훈련이 진행됐는데요.윤현석 기자가 현장을 가봤습니다.윤현석 기자>레디코리아 2차 훈련(장소: 21일, GTX 구성역)시간당 150㎜의 기습적인 폭우로 하수관이 역류하면서 빗물이 역사 안으로 ...
-
한일 양국 전용 입국심사대 운영
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김현지 기자>일본 여행 갔는데, 긴 입국 심사줄에 당황했던 적 있으신가요?6월 한달 동안 일본 입국 심사가 빨라집니다!우리나라와 일본이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양국 공항 심사장에 '한일 전용 통로'를 개설합니다.대상 공항은 김포공항과 김해공항, 일본 도쿄 하네다 공항, 후쿠오카 공항인데요.전체 외국인 대...
-
질병재난 대응 정보를 한곳에 담은 질병재난아카이브 개설
김현지 기자>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이 발생하면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쏟아지는 방대한 정보들.특히 온라인에서 공유되는 자료는 제때 보존하지 않으면 사라져버리기 쉬운데요.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최초의 질병재난 온라인 정보 아카이브, 'SAVE 누리집'이 문을 열었습니다.중앙방역대책본부가 운영됐던 감염병 4종의 자료가 모여 있는데요.코로나19와 중동호흡...
-
'대학교로 찾아가는 무료 법률상담' 받고 안전한 일상 만들어요
김현지 기자>이달 초 경기 이천에서 30대 남성이 전애인과 그의 남자친구를 숨지게 한 충격적인 사건이 있었는데요.연인 간 폭력이 강력 범죄로 이어지면서 교제 폭력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습니다.여성가족부가 이와 같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무료 법률상담 사업을 시작합니다.교제 폭력과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등 폭력 피해 발생 비율이 높은 2030 세대를 위...
-
'지역활력타운' 10개 사업 선정···지방소멸 대응
임보라 앵커>정부가 인구감소 지역을 대상으로 살기 좋은 마을을 조성하는 '지역활력타운'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요.올해는 강원 태백과 전북 장수를 비롯해 경남 하동 등 총 10곳이 선정됐습니다.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이리나 기자>8개 정부부처가 지난 2023년부터 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 지역을 살리기 위해 추진 중인 지역활력타운 조성 사업.도시에서 이주한 은...
-
"다이어트 건기식 중복 섭취 주의···부작용 우려"
임보라 앵커>최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많은데요.두 가지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섭취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체중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지난 2020년 1천679억 원이었던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은 지난해 2천345억 원으로 ...
-
'소규모 농촌체험' 호응 잇는다···지원대상 40곳 선정
임보라 앵커>도심에선 경험하기 어려운 이색 농촌체험이 여행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데요.수요에 힘입어, 정부가 특색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나섭니다.올해 전국 40곳의 마을을 선정해 지원하기로 했는데요.최유경 기자입니다.최유경 기자>(장소: 경남 김해 알로에 체험 농장)고사리 같은 손으로 흙을 담고, 파릇한 이파리를 만져봅니다.현장음> "이걸로 꼭꼭꼭, 아프지 ...
-
질병청,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메르스 주의 당부
임보라 앵커>보건당국이 다음 달 초 이슬람 성지순례기를 앞두고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중동호흡기 증후군, 메르스와 수막구균 감염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질병관리청은 현지에서 생낙타유와 덜 익은 낙타고기를 섭취하는 것을 비롯해 낙타 접촉을 자제하고, 진료목적 외에는 의료기관 방문을 하지 말 것을 강조했습니다.또 출국 전 수막구균 백신을 접종하고 귀국 후 14일...
-
서서히 죽음으로 몰아가는 '수면장애' 극복하는 법! [건강 365]
충분히 잠을 자지 못해 병적인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국내 환자가 1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작년 10월 기준) 수면장애는 뇌졸중, 치매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한다.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요인부터 증상, 극복 해법을 전문의와 함께 살펴본다.
-
"범부처 바이오 R&D 중점 분야 선정···부처 간 협업"
김용민 앵커>팬데믹 위기를 거치면서 바이오 기술은 국가 안보의 핵심으로 자리잡았습니다.김현지 앵커>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은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 R&D 중점 분야 선정이 필요하다며, 부처 간 협업을 주문했는데요.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코로나19 팬데믹 시기 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해 노벨상을 수상한 드루 와이스먼.mRNA 백신의 핵심 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