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회
-
클릭 한 번에 환급···국세청 '원클릭' 서비스 개통 [오늘의 이슈]
임보라 앵커>국세청이 3월 31일부터 편리하고 수수료 부담 없는 종합소득세 환급 서비스 '원클릭'을 개통했습니다.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관련 내용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봅니다.(출연: 박연미 / 경제평론가)Q. 국세청 '원클릭 서비스'는?Q. 원스톱 서비스 환급 대상·기대효과는?Q. 원스톱 서비스 이용 방법·서비스 장점은?
-
상법 개정안 재의 요구 관련 관계 기관 합동브리핑
상법 개정안 재의 요구 관련 관계 기관 합동브리핑김석우 / 법무부 차관김소영 /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김범석 / 기획재정부 제1차관(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헌재 "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김경호 앵커>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오는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립니다.헌재는 오늘, 탄핵심판 청구인과 피청구인 측에 이 같은 내용의 선고기일을 각각 통지했습니다.이번 탄핵심판 선고는 생중계할 예정이라고 헌재는 밝혔습니다.
-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부작용 우려"
김경호 앵커>이사의 충실의무를 회사에서 주주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에 대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했습니다.한 권한대행은 법률안의 취지에 대해선 공감한다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할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제14회 국무회의(장소: 1일, 정부서울청사)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상법 개정안'에 대...
-
경북·경남에 재난특교세 추가 지원···"복구에 역량 결집"
김경호 앵커>산불 피해 지역에 수습과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정부는 피해 지원에 속도를 내기 위해 경북과 경남 지역에 재난특교세 226억 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입니다.윤현석 기자입니다.윤현석 기자>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대본 11차 회의(장소: 31일, 경상북도 재난안전상황실)산불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을 최우선으로 피해복구에 나선 정부.피해 수...
-
경남·경북에 재난특교세 226억 추가 지원
김용민 앵커>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 재난특교세가 추가 지원됩니다.정부는 오늘(1일) 열린 산불대응 중대본 11차 회의에서 경남과 경북에 재난특교세 226억 원을 추가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한편 이번 회의에선 소방청의 전국 특별경계근무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국립공원 104개 탐방로 선제 통제 등 2차 산불 예방 대응책도 논의됐습니다.
-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 주거 지원·의료급여 지급
김용민 앵커>서울 면적의 80%를 태운 영남지역 산불로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많은 이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습니다.김현지 앵커>정부는 산불 피해 이재민들에게 공공임대주택을 이용한 긴급 주거 지원과 함께 의료급여 등을 지급합니다.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경북 의성군)집이었다고 믿기지 않을 정도로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타버렸습니다.가재도구가...
-
"몸도 마음도 무너져"···정부, 산불 이재민 건강 지원
김용민 앵커>화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은 고통과 실의에 빠졌습니다.김현지 앵커>정부는 이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치료 지원에 힘쓰기로 했습니다.조태영 기자가 경남 산청에 다녀왔습니다.조태영 기자>(장소: 산청군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이재민 임시주거시설))통합 임시주거시설에 지내는 산불 피해 이재민.밝은 모습으로 인터뷰에 응했지만, 삶의 터전을 잃은 ...
-
농기계 신속 공급···사료구매자금 1천100억 원 지원
김용민 앵커>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농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었는데요.김현지 앵커>농식품부는 농기계와 농자재를 신속히 공급하고, 농·축산 경영자금 등 재정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최유경 기자입니다.최유경 기자>이번 산불로 피땀으로 일군 생계 터전을 송두리째 잃어버린 농민들.경북에서만 1천555헥타르 규모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은 ...
-
한 권한대행,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김현지 앵커>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사의 충실 의무를 '주주'까지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했습니다.한 권한대행은 오늘(1일) 국무회의에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돼 국회에 재의를 요구한다고 밝혔습니다.이어 '상법 개정안'의 기본 취지에 반대한 것이 결코 아니라며, 기업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