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일자리 지원 재정을 대폭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올해만 52만7천명에 일자리를 지원 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올해 일자리 지원 사업에 총 1조 5463억원을 투입해 52만여 자리의 일자리 창출을 한다는 계획입니다.
이 같은 지원 계획은 지난해 예산인 1조4038억원 비해 10.2% 증가한 수치이며 지원인원도 전년도 46만 2천명 보다 14% 증가한 것입니다.
지원사업의 유형별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해 방문 도우미 사업에 659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해 520억원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한 청년실업대책에는 청소년 직장체험프로그램에 398억원, 청년고용촉진을 위해 851억원에 재정을 배정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자활근로에 2337억원, 장기구직자 고용촉진 장려금으로 156억원 투입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이번 재정지원을 통한 일자리 지원 사업의 특징은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로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와 함께 직접적인 새로운 일자리 지원 사업을 강화하고 교육·훈련 등 간접 고용유발 사업도 장기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또한 앞으로 그동안 외형확대의 실적위주의 사업을 지양하기 위해 체계적인 성과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일자리 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일자리 지원사업의 사업별 성과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를 예산에 반영하는 환류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성과평가 결과 효과가 큰 사업위주로 사업 우선순위를 조정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는 방침입니다.
한편 어려운 고용여건을 감안해 조기에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상반기에 집행률을 높여 올 한해 일자리 창출 효과를 극대화 한다는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