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역사 열렸다
20일 오전에 세종시로 이름붙여진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첫 삽을 떴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우리 역사의 융성기를 이룬 세종대왕의 위상에 걸맞는 도시가 될 것이라면서, 청와대와 국회도 옮겨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강동원 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국가균형발전의 새 역사가 열리고 있다`면서 벅찬 감정을 나타냈습니다.
충남 연기군에서 열린 행정중심복합도시 ...
방송일자 : 2007.07.20
-
세종시는 어떤 도시
그럼 여기서, 20일 첫 삽을 뜬 세종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종시는 주변지역까지 포함해서 297 제곱킬로미터로, 서울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넓이로 지어집니다.
도시의 형태는 한가운데의 녹지를 중심으로 주거지역이 바깥으로 둘러쳐진, 반지 모양의 환상형 구조입니다.
2010년에 첫 주민입주가 시작되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마...
방송일자 : 2007.07.20
-
통일부, 쌀차관 육로수송
통일부 쌀차관 육로수송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07.07.20
-
탈레반, 아프간서 한국인 납치
무장 이슬람 정치세력인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버스 승객을 납치했다고 현지 경찰이 밝혔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납치된 승객이 탄 버스는 아프간 남부 칸다하르에서 수도 카불로 향하고 있었으며 탈레반 무장세력은 버스를 세우고 승객들을 납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납치된 것으로 알려진 한국인 선교활동하던 청년 20여명으로 전해졌습니다.
...
방송일자 : 2007.07.20
-
이랜드 점거농성 강제해산
경찰이 20일 오전 장기간 점거 농성 중인 이랜드 계열 노조 농성장 두곳에 공권력을 투입해 강제해산했습니다.
노사 양측은 지난 10일 첫 대표급 협상을 진행한 이후에 19일 새벽까지 장기간 협상을 벌여왔지만 조합원 고소고발 취하와 해고직원 복귀, 단계적 외주화 철회 등의 문제에서 의견이 엇갈린 끝에 합의를 보지 못했습니다.
이랜드노사가 극한 대치를 보이...
방송일자 : 2007.07.20
-
세종대 등 임시이사 선임
세종대 등 다섯개 대학 법인에 대한 임시이사 선임이 확정됐습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세종대와 대구외대, 경기대, 대한신학대학원, 상지대에 현행 사학법을 적용해 20일 날짜로 임시이사를 선임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새로 개정된 사학법을 적용할 경우에 임시이사 선임까지 최소 5개월이 걸린다며 경영 정상화와 학생들의 학습권 보호를 위해서 이같은 조치를 ...
방송일자 : 2007.07.20
-
사실상 `마무리`
한.EU FTA 2차 협상이 사실상 마무리됐습니다.
유럽연합측이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보이는 등, 당초 기대보다 빠른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유진향 기자>
유럽연합측이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습니다.
우리측 협상단은 19일 협상에서 개성공단의 역외가공 방식에 대해 설명...
방송일자 : 2007.07.20
-
UN `한국, 테크놀러지 격차 해소 모범`
유엔무역개발회의가 우리나라를, 선진국과의 테크놀로지 격차를 성공적으로 따라잡은 모범 사례로 꼽았습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는 `저개발국 보고서 2007`에서 한국은 고용 확대 및 노동생산성 향상과 결합된 급속한 자본 축적과 테크놀로지의 변화를 통해서 경이로운 경제성장과 빈곤 감축을 이뤘다고 평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의 정책적 효율성은 지속적인 테크놀러지...
방송일자 : 2007.07.20
-
교황청, 한국 지상파DMB 채택
우리나라 지상파DMB가 로마 교황청의 모바일 TV기술로 채택됐습니다.
정보통신부는 유럽을 방문중인 유영환 차관이 현지시간으로 19일 교황청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국무원장을 만나서 지상파 DMB 비디오 인코더를 증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바티칸시의 지상파 DMB 실험방송은 지난번 노무현 대통령이 베네딕토 16세 교황을 예방할 때 DMB 단말기를 선물한 것...
방송일자 : 2007.07.20
-
안전이 최고
최근 발생한 캄보디아 여객기 추락사고, 우리에게 해외여행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안겨줬습니다.
하지만 어디에 무엇이 위험한지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정부가 최근 5년동안의 철도와 항공 사고 내역 등 해외여행지 안전정보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강명연 기자>
지난해 해외로 여행을 떠난 관광객은 모두 1160만명.
하지만 최근의 캄보디아 항공기 사고에서...
방송일자 : 2007.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