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트 2관왕 달성···한국 10-10 실패
이번 대회는 이변의 연속과 우사인 볼트의 2관왕 달성으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예측 할 수 없었던 이번 대회 주요 경기를 팽재용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이틀째,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던 경기에서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이변이 발생합니다.
바로 남자 100m 결승에 출전한 우사인 볼트의 부정출발 실격...
방송일자 : 2011.09.05
-
시민 참여, 대회성공 밑거름
세계 80억 인구가 함께 즐긴 이번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그야말로 지구촌 축제였습니다.
시민들과 자원봉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경기장 안팎의 풍성한 볼거리는 대회 성공에 큰 힘을 보탰습니다.
계속해서 신혜진 기잡니다.
작렬하는 햇살, 타는 무더위도 입장권을 사려는 시민들의 발걸음을 가로 막지는 못합니다.
9일간의 열전을 마무리하는 폐막일.
대구...
방송일자 : 2011.09.05
-
2천930만명 대이동···특별교통대책 시행
정부가 오는 10일부터 시작되는 추석 연휴를 맞아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합니다.
2천 930만명의 대이동이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는 원활한 소통을 위해 교통량 분산에 집중한다는 계획입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번 추석 연휴는 기간이 짧은 만큼, 교통혼잡도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토해양부는 오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 동안 전국적으로 2천9...
방송일자 : 2011.09.05
-
추석 인천공항 승객 50만 돌파 예상
<!--{13151902680460}-->경기침체와 짧은 연휴에도 불구하고 이번 추석에 공항은 크게 붐빌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추석 당일인 12일을 전후한 5일간 인천공항 이용객은 총 51만5천723명으로, 작년의 44만8천817명에 비해 14.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추석 전후 5일간 인천공항 이용객이 50만명을 넘어서는...
방송일자 : 2011.09.05
-
추석 연휴기간 고속버스 환승 일시정지
한편, 오는 9일부터 14일까지 횡성휴게소 등 전국 6개 휴게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속버스 환승 운영이 일시 정지됩니다.
국토해양부는 "추석 연휴기간에는 고속버스가 출발지부터 만차가 되는 경우가 많아 환승을 위해서는 장시간을 대기해야 하고, 휴게소 혼잡으로 안전사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
방송일자 : 2011.09.05
-
농식품부, 쇠고기이력제 집중 단속
농림수산식품부는 추석을 앞두고 전국 쇠고기 판매업소 등을 대상으로 쇠고기 이력제 이행 실태를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부터 오는 11일까지 실시되는 이번 단속에서 농식품부는 국내산과 수입 쇠고기의 원산지, 개체식별번호 허위기재 여부를 중점적으로 단속할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특히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정육점형 식당, 재래시장 등을 집중적으로 점...
방송일자 : 2011.09.05
-
추석연휴 고액논술 등 입시학원 집중 단속
오는 8일부터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되는 가운데 교육당국이 학원가 고액 논술강의에 대한 집중단속에 나섭니다.
집중단속 대상은 서울 대치동, 목동, 중계동과 경기도 분당, 일산 등 7개 학원중점관리구역 내 논술학원입니다.
적발된 학원에 대해서는 세무서 통보, 과태료 부과, 고발 등 강력한 행정처분을 할 방침입니다.
< 저작권자 ⓒ 한...
방송일자 : 2011.09.05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1.09.05
-
이 대통령 73차 라디오·인터넷 연설 다시 듣기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달 21일부터 닷새 간 몽고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 3개국을 다녀왔습니다.
이 세 나라는 중앙아시아에서도 자원이 가장 풍부한 개발도상국가로, 우리의 에너지 분야 진출에 대단히 중요한 나라들입니다.
다행히 우리와는 더할 수 없이 가장 좋은 관계에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우리 기업과 정부가 ...
방송일자 : 2011.09.05
-
각국 거시기조 '안정'에서 '성장'으로 [주간 경제동향]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의 거시경제기조가 성장 우선으로 돌아서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에서도 앞으로 거시경제기조를 어디에 둘 것인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 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 저작권자 ⓒ 한국정책...
방송일자 : 2011.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