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답변입니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생방송e-korea3부(생방송**)
등록일 : 2002.09.10 18:28
안녕하세요. 생방송 e-korea3부 입니다.

항상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질문하신 것에 대한 답변을 올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형법 제355조 제2항에서는 배임죄에 관하여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관련 판례를 보면, "배임죄에 있어서 손해란 현실적인 손해가

발생한 경우뿐만 아니라 재산상의 위험이 발생된 경우도 포함되므로,

피해자와 주택에 대한 전세권설정계약을 맺고 전세금의 중도금까지

지급 받고도 임의로 타(他)에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해줌으로써

전세금반환채무에 대한 담보능력상실의 위험이 발생되었다고 보여진다면

위 등기경료행위는 배임죄를 구성한다."라고 하였으며(대법원 1993. 09.28.

선고 93도2206 판결), "피고인이 전세권설정등기를 할 의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임무에 위배하여 채권자에게 채무담보를 위한 가등기를

경료하였다면 그때 전세권설정을 위태롭게 한 상태를 야기시켜 그와 같은

손해를 가하였다 할 것이므로 배임죄가 성립된다."라고 하였습니다.

(대법원 1975.07.08. 선고 74도1635 판결).

여기서 전세권설정의무를 부담하는 자가 제3자에게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준 경우, 그러한 행위가 모두 배임죄게 되는 것은 아니며, 전세금반환채무


대한 담보능력상실의 위험이 발생되었다고 보여지는 경우에만 배임죄가

성립될 것인바, 그러한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서는

근저당권설정 당시 그 부동산의 시가 및 선순위담보권의 피담보채권액을

계산하여 그 행위로 인하여 당해 부동산의 담보가치가 상실되었는지를

따져보아야 합니다(대법원 2002. 01. 11. 선고 2001도5790 판결).

따라서 위 사안에서 전세금의 중도금까지 지급 받은 상태에서 전세목적인

주택 및 그 대지에 제3자인 사람에게 채권최고액이 다액인 근저당권을 설정

해주었고, 그로 인하여 전세권의 담보가치가 손상되었다면 배임죄가 문제

될것으로 보입니다.


********************************************************

궁금한점 해결되셨는지요...

감사합니다.



- 생방송e-korea3부-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