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국민의 의무이자 권리입니다.
기회가 가장 공평하게 주어져야 할 부분도 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양극화가 확대되면서 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닙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수입이 200만원 이하인 가정의 수험생은 287.6점, 500만원이 넘는 가정은 317.6점.
지난 2004년 수학능력시험 결과를 가계 소득과 비교해 분석한 결과입니다.
소득에 따라 점수가 30점이나 차이가 나는 것,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됐습니다.
수입의 양극화로 인한 교육격차가 공정한 계층상승의 통로로 인식되던 교육 분야마저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악순환을 방지하고 가난의 대물림을 막기 위해 교육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도시 저소득층의 교육과 문화, 복지 향상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을 확대하고 방과 후 학교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의 청소년들을 위해 방과 후 아카데미와 청소년 공부방을 확대하는 한편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지원센터도 늘릴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오는 2009년까지 모든 장애학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수학교를 늘리고 새로운 소외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교육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교육격차위원회를 구성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육안전망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