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는 변화와 개혁을 키워드로 한 정책추진과정에서 기존 정책과 제도에 끊임없는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그 결과 과거사 문제, 사학법 개정, 사법개혁 등 적지 않은 성과물을 내놓았습니다.
정치자금법과 선거법 개정으로 깨끗한 정치의 토대를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스스로 만든 탈 권위 문화가 정착돼 국정원 검찰 경찰 등 이른바 권력기관들에 대한 두려움도 많이 해소됐습니다.
참여정부 3년 우리국민들은 깨끗하고 투명해진 사회분위기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습니다.
한국사회연구소가 참여정부 3년 국정운영과 관련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정부패 척결을 가장 잘한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기업인들을 상대로 한 경제분야 여론조사 결과에선 지역불균형 해소노력과 인위적인 경기부양책을 자제한 점을 참여정부의 성과로 꼽았습니다.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건설을 관철시켰던 점, 집권초기 경제상황이 불투명한 상황에서도 단기 부양의 유혹을 뿌리치고 꾸준한 경제체질 개선으로 안정적 성장궤도에 올려놓은 점을 기업인들이 높게 산 것입니다.
반면 앞으로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일자리창출과 기업규제 완화 양극화 해소에 맞춰줄 것을 희망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취임 3년을 맞은 지난 25일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편지에서 양극화와 저출산 고령화라는 두개의 시한폭탄을 제거하지 못하면 대한민국이 진정한 희망의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양극화와 저출산 고령화 등 우리사회를 위협하는 것에 대해 함께 결단하고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비장한 각오도 밝혔습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 등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대형국책사업들도 정권이 바뀌면 정책이 바뀔 수 있다는 헛된 기대에 틈새를 보이지 않아야 한다는 지적도 많았습니다.
역대정권들이 기득권 수호를 위해 다수의 저항이 두려워 못했던국민연금 개혁이나 저 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제기되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면서 남은 기간 동안 책임을 다해주길 국민들은 바라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참여정부가 원칙을 흔들림 없이 지켜나가고 국민 모두가 미래에 대한 불안 없이 마음 놓고 열심히 일하는 사회를 만들어나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