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13일 파업에 들어갔는데요, 장기화될 경우 물류대란으로 국가경제, 그리고 국민생활에도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데요, 정부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파업이 조기에 해결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알아봤습니다.
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가 13일 0시를 기해 파업에 들어감으로써 우려했던 물류 대란의 위기가 현실화 되고 있습니다.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국민들의 실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피해최소화와 조기해결을 위해 적극 나섰습니다.
먼저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대체 수송 수단을 투입했는데요, 임시화물열차 100량을 추가 투입하고, 부산항과 인천항간 연안 컨테이너 선박을 운행했습니다.
또 군 컨테이너 차량 100대와 운전인력 200명을 항만 등 물류 거점에 긴급 투입했습니다.
정부는 비상조치와 함께 강경투쟁을 부추기거나 운송을 방해하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법적 책임을 묻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그동안 고유가로 인한 화물운송종사자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과 대책을 내놓았음에도 파업이 시작된데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최근 발표된 고유가극복 대책을 통해 다음달부터 리터당 1800원 이상 유가 상승분의 50%를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고, 장기적으로는 화물운송 정보망 구축등 다단계 화물거래 관행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또 화물연대가 요구하고 있는 최저임금제인 표준운임제 도입을 위해 조만간 총리실에 화물 운임관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고통분담차원에서 유가상승에 따른 운송료 인상 협상에 화주들이 적극 참여하도록
설득하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