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 학생들의 학습부담이 이르면 2011학년도부터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한 학기에 배울 교과목이 최대 5과목이나 축소돼 학생들의 학습부담도 함께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은 주당 10과목, 중·고등학생은 11~13개 과목을 배우고 있습니다.
여기에 예체능과 같은 통합교과목까지 세분화해 합치게 되면 실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자칫 학습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이같은 교육환경이 이르면 2011학년도부터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는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 공청회를 열고 개편안 시안을 공개했습니다.
시안에는 먼저 학기당, 분기당, 주당 이수과목수를 8과목 이하로 줄여 초등생은 10과목에서 7과목, 중고생은 13과목에서 8과목으로 학습부담을 낮출 계획입니다.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도 현재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인 것을 초, 중학교 과정까지만으로 조정하고 대신 고등학교부터는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교의 과목 편성권이 대폭 확대됩니다.
또 현재 주당 1~2시간 정기적으로 배우는 도덕, 음악, 미술, 실과는 앞으로 특정 학기에 몰아서 이수할 수 있도록 '집중이수제'를 도입할 전망입니다.
과목이 줄어드는 대신 학생들의 봉사활동과 동아리활동 등 학습 외 시간은 주당 2시간에서 3시간 이상으로 늘어납니다.
자문회의는 다음달 말까지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안을 확정해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김용남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