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준식 부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관계 장관회의에서는, 장기결석 아동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됐습니다.
부처 간 협업을 통해, 강화된 아동학대 대응책을 내놨는데요.
박수유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장기결석 아동에 대한 전수조사를 한 데 이어, 취학연령이 됐는데도 취학하지 않은 아동과 장기결석 중인 중학생에 대해 다음 달부터 실태조사에 나섭니다.
녹취> 전우홍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관
그 대상은 2016년 2월 1일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미취학 아동과 최근 3년 이내의 정당한 사유 없이 장기결석 중인 중학생입니다.
교육부가 정당한 사유 없이 7일 이상 장기결석한 287명의 아동들을 조사한 결과 경찰에 신고된 게 91건,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게 17건으로 나타났으며 경찰에 신고된 91건 중 18건은 학대가 의심돼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17건 중 6건은 아동학대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전화상담, 심리치료 등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이준식 사회부총리는 합동점검 대상을 확대함과 동시에 아동학대 예방을 강화하기 위한 범정부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준식 사회부총리
이번에 수립하는 대책이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을 단 한명도 놓치지 않고 빈틈없이 보호해 줄 수 있는 든든한 안전망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리 모든 부처들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하겠습니다.
우선 다음 달까지 의무교육 미취학자와 장기결석 아동을 관리하기 위한 매뉴얼이 개발됩니다.
이와함께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등 관계법령도 개정해 미취학이나 장기 무단결석이 발생할 경우 그 사유와 소재를 파악하고 아동의 안전확인이 책임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부처 간 논의를 통해 아동학대 대책의 세부내용을 확정한 뒤 매달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갈 예정입니다.
KTV 박수유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