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국방부 "사드, 주민 안전에 문제 없도록 배치"

KTV 830 (2016~2018년 제작)

국방부 "사드, 주민 안전에 문제 없도록 배치"

등록일 : 2016.02.16

앵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의 레이더 등에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나온다는 의견이 제기돼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주민의 안전과 환경에 문제가 없도록 사드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주한미군의 사드 도입을 위한 한미간 협의가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사드 레이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해 주한미군이 사드 후보지로 실사를 마쳤다는 지역에서는 벌써부터 사드 배치 반대 움직임이 있는 상황.
국방부는 우리 지형을 감안해 주민의 안전과 환경에 문제가 없도록 배치를 추진하겠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한국적 지형적 조건에 부합되게 판단해서 우리 주민의 안전과 환경에 문제가 없도록 그렇게 공동실무단에서 협의를 해나갈 예정입니다.)
국방부는 사드 레이더로부터 5.5km 반경 이내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습니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사드 레이더가 배치된 괌에서 지난해 이뤄진 환경평가에 따르면 레이더의 각도를 5도로 할 경우 인체유해 거리는 100m, 민간 항공기 통제거리는 2.4km, 전투기 통제거리는 5.5km 였다고 밝혔습니다.
또 사드의 레이더는 요격에 초점을 둔 사격통제용 레이더로 365일 가동되는 것이 아니라 작전 수행시에만 가동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방부는 사드 배치 지역이 정해지면 해당지역 주민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공청회도 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지금 우려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아직 배치지역이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정되면 주민들께 필요하면 이해를 구할 수 있는, 그런 노력을 할 것입니다."
한편 국방부는 사드 배치를 검토할 때 최적의 지점에서 북한이 발사하는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지역을 군사적 효용성이 있는 지역으로 판단할 것이라면서
군사적 효용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KTV 박성욱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