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신조어가 국어사전에…국립국어원 '우리말샘' 개통

KTV 830 (2016~2018년 제작)

신조어가 국어사전에…국립국어원 '우리말샘' 개통

등록일 : 2016.10.06

앵커>
재능나눔, 꽃중년..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국어사전에는.. 오르지 못한 단어들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들을 담은, 온라인 사전 '우리말샘'이 개통했습니다.
최영은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리포트>
대학생 허성문 씨는 평소 자주 사용하지만 사전에는 등록돼 있지 않은 단어, '재능 나눔'을 우리말샘 어휘로 등록했습니다.
인터뷰 > 허성문 /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학년
"이제는 내가 궁금했던 말들, 내가 자주 사용하던 말들을 국립국어원이 내는 사전에서 다 함께 만들어갈 수 있다는 점에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사전도 '재능 나눔'의 일환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고(등록했습니다).“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휘를 국민이 직접 등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국어사전이 탄생했습니다.
국립국어원은 국민참여형 국어 사전인 '우리말샘'의 개통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우리말샘에는 일상어, 지역어, 전문 용어 등 100만 개의 어휘정보가 등록됐습니다.
앞으로 여기에 누구나 어휘 정보를 더하고 수정하면서 사전을 만들어가게 되는 겁니다.
등록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만 하면 전문가 등의 감수를 거쳐 손쉽게 등록이 가능하고, 한 번 등록된 어휘정보는 저작권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등록 어휘 정보를 문화나 교육 콘텐츠 개발 과정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겁니다.
인터뷰> 송철의 / 국립국어원 원장
"실생활의 살아있는 단어를 모두 수록할 수 있는 성격의 사전입니다. 이 사전은 국민참여형 사전이기 때문에 국민 여러분이 얼마만큼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냐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
한편 이날 새로운 사전 개통식에서는 우리말샘과 함께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외국어 학습사전도 첫선을 보였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새로운 형태의 사전을 통해 국민 언어 생활의 편의를 높이고, 한국어의 국제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