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미국 신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미 통상협의회를 출범시켰습니다.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이 다함께 참여하고 있는데요, 김용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의 후보시절 주요 통상 공약은 TPP탈퇴와 NAFTA 재협상,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등입니다.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자국 우선주의를 주장한 트럼프의 당선 이후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정부가 미국의 신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통상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 대미 통상협의회를 출범시키고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대미통상협의회는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민관 공동거버넌스 입니다.
앞으로의 대미통상 대책과 양국 신규 협력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수립하게 됩니다.
주형환 산업통상부 장관은 수출과 통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현명하게 극복하면 대외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SYNC> 주형환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를 현명하게 극복하면 오히려 우리의 대외 경쟁력을 한 단계 제고할 수 있는 도약의 기회가 찾아올 것이라는 생각으로 차분하고 흔들림 없이 대처해 나가고자 합니다."
주 장관은 한미 FTA는 상호번영의 틀이라며, 미국측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고 윈윈 효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보호무역에 대처하기 위해 대미 통상협의회를 중심으로 대책을 수립하고, 무역조치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YNC> 주형환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부당한 조치에 대해서는 양자·다자간 통상협의 채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필요시 국제규범에 입각해 WTO 제소도 검토하는 등 적극 대응하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당선 이후 새로운 산업·에너지 분야의 협력기회가 열린 만큼 양국의 새로운 사업을 발굴해 달라고 주문했습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