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4.2% ↑···소득분배 격차 커져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4.2% ↑···소득분배 격차 커져

등록일 : 2018.08.24

신경은 앵커>
통계청의 가계 동향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년 전보다 늘어났지만, 소득 격차는 커졌습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김유영 기자>
2분기 전국 가계의 실질소득이 4.2% 증가했습니다.
지난 2014년 1분기 이후 최대폭으로, 3분기째 증가행진을 이어갔습니다.
2인 이상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53만 1천원.
소득 하위 20%의 소득은 132만 5천원으로 7.6% 줄어든 반면, 소득 최상위 20%의 소득은 913만 5천원으로 10.3% 증가했습니다.
이 같은 상하위 가계의 소득 격차는 소득분배가 지난 2008년 이후 10년 만에 가장 악화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녹취> 박상영 / 통계청 복지통계과장
“우리 경제가 2015년부터 조선업이라든지 2016년 자동차, 이러한 중심산업을 중심으로 해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고, 그 파급효과로 내수부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까 내수부진에 따른 영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해서 사업소득의 감소가 현저한 상황이고요.”

소득에서 세금 등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지출할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의 경우, 지난 1분기에 5분위 배율은 5.23배로 나타났는데, 이는 1년 전보다 0.5% 상승한 것으로, 지난 2008년 2분기 이후 최악의 수치입니다.
5분위 배율은 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을 1분위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그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하게 됐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외에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03만 1천4백원으로 1년 전보다 5.3% 늘어 2012년 이후 6년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3.8% 늘어난 92만 5천원, 재산소득은 3.4% 증가한 2만 3천3백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영상편집: 양세형)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소득을 뜻하는 이전소득은 16.6% 늘어난 51만 3천2백원으로, 지난 2004년 2분기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KTV 김유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