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씨름' 세계유산으로 거듭난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권고 [정책 공감]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씨름' 세계유산으로 거듭난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권고 [정책 공감]

등록일 : 2018.10.31

김용민 앵커>
문화재청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를 신청한 ‘씨름’이 지난 29일 평가기구의 심사결과에 따라 등재권고 판정을 받았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19종목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오는 11월 말, 최종 등재가 확정되면 총 20종목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됩니다.
자세한 이야기 박형빈 문화재청 세계유산팀 연구관과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박형빈 / 문화재청 세계유산팀 연구관)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서 인류무형문화유산이란 무엇이고,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가 되는 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 놀이 ‘씨름’에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권고가 내려졌다고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시죠.

김용민 앵커>
유네스코 무형유산심사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어떤 과정을 거쳐 이 같은 결과를 내리는 건가요?

김용민 앵커>
평가기구는 우리나라 씨름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씨름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하고자하는 움직임.
언제부터 시작된 건가요?
또 그동안 언제 준비 과정을 거쳤는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하루 이틀 사이에 준비가 이뤄지는 건 아닐텐데요.
이 과정에서 우여곡절은 없었나요?

김용민 앵커>
눈에 띄는 건, 북한도 씨름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신청한 건데요.
북한이 신청한 씨름에는 어떤 결정이 내려졌나요?

김용민 앵커>
남북 공동 등재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남북이 공동 등재하기 위해 거쳐야 할 과정은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남북 공동등재가 실현된다면 이 또한 큰 의미를 갖게 되는 것 아닌가요?

김용민 앵커>
남북의 공동으로 등재한 인류무형문화유산 씨름은 결과를 기다려봐야겠지만, 과거 공동 등재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이 있다고요?

김용민 앵커>
그렇다면 씨름의 최종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언제 결정이 나는 건가요?

김용민 앵커>
마지막으로, 씨름 이외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유문화들이 많지 않습니까?
또 다른 문화유산 등재 위해 힘쓰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천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의 전통 무예 씨름.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종묘제례, 판소리, 강강술래 등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뒤를 이어 씨름이 대한민국의 20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될 수 있을지, 오는 11월 말, 좋은 결과가 있길 기대해 봅니다.
지금까지 박형빈 문화재청 세계유산팀 연구관과 함께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