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화상연결·채팅질의···첫 온라인 기자회견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화상연결·채팅질의···첫 온라인 기자회견

등록일 : 2021.01.19

유용화 앵커>
이번 신년 기자회견은 코로나19로 인해 사상 처음으로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온라인 화상으로도 기자들을 연결했고, 온·오프라인 모두 참여하지 못한 기자들은 온라인 채팅으로 '질의응답'을 이어갔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신년 기자회견
(장소: 오늘 오전, 청와대 춘추관)

신년 기자회견장에 거대한 스크린이 설치됐습니다.
100명의 기자를 온라인 화상으로 연결한 겁니다.
올해 신년 기자회견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20명만 최소한으로 자리했고, 100명은 온라인 화상으로 참여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코로나 상황 때문에 꽤 오랫동안 기자회견을 하지 못했습니다. 오늘도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하게 됐는데, 주로 비대면 화상 회견의 방식으로 하게 됐습니다."

이번 신년 기자회견도 지난번과 같이 문 대통령이 직접 진행했습니다.
이전처럼 질문을 미리 조율하지 않고 직접 질문자를 지명했습니다.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하는 관계로, 기자들은 번호표를 들고 방역·사회와 정치·경제, 외교·안보 등 분야별로 질문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66번 기자님 부탁드릴까요."

녹취> 이상우 / 인천일보 기자
"인천일보 이상우 기자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요. 먼저 질문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 대통령은 회견이 진행되는 동안 '솔직히'라는 표현을 여러 차례 사용하며 각종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입장을 밝혔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사면의 문제는, 예, 오늘 그게 가장 중요한 질문이 될 것이라고 하셨기 때문에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만, 그냥 솔직히 제 생각을 말씀드리기로 했습니다.”

분야별 질의응답이 끝난 뒤에는 채팅질의가 이어졌습니다.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하지 못한 청와대 출입기자들은 온라인 채팅창을 통해 질문했습니다.

녹취> 정경윤 / SBS 기자
"제 오른쪽에 보이는 온라인 채팅창에서 질문들을 계속 올려주고 있었는데요. 저희가 이 많은 질문들 중에서 기자들의 동의를 많이 얻은 질문 세 가지를 선정을 했고요. 지금부터 그 질문 드리려고 합니다."

청와대는 사상 처음으로 열린 온·오프라인 회견인 만큼, 당일 오전까지 리허설을 네 차례나 진행하는 등 꼼꼼하게 준비했습니다.
또, 회견장을 소독하고, 현장에 참석한 기자들을 대상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문진표를 작성하는 등 철저한 방역 절차를 거쳤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민경철 / 영상편집: 김민정)
회견은 예정된 100분을 훌쩍 넘겨 2시간을 지나 마무리됐습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