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공공데이터로 만드는 축산의 미래···주식회사 앤틀러의 도전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공공데이터로 만드는 축산의 미래···주식회사 앤틀러의 도전

등록일 : 2021.05.03

최대환 앵커>
데이터를 정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머신러닝, AI 등을 개발하는 것.
이제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새로운 산업의 방식입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할 내용은 바로 전통적인 축산업에 데이터를 결합한 도전입니다.
사실 차세대 산업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는 사회와 산업의 각 분야에서 오랫동안 준비되어 왔습니다.
공공의 영역으로 가면 더 그렇습니다.
축산의 경우 여기 사육, 도축, 포장 처리, 판매, 소비 단계까지 축산물의 모든 이력을 기록한 공공데이터가 있습니다.
농림축산 식품부의 축산물 이력제 라는 건데요.
이 스타트업은 바로 이 공공 데이터에 주목했습니다.
애니멀 데이터 랩, 오늘 소개할 스타트업 회사가 내세운 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
이 방대한 양의 공공데이터를 가공하고,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만드는 포부를 담았습니다.
모든 산업이 미래를 위해 발돋움하고 있는 시기, 축산업 이라는 전통적인 산업이 공공데이터를 통해 미래적인 것으로 바뀔 수 있을지, 대담을 통해 다뤄보겠습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나영준 주식회사 앤틀러 대표이사와 함께하겠습니다.

(출연: 나영준 / 주식회사 앤틀러 대표이사)

최대환 앵커>
먼저 주식회사 앤틀러, 어떤 일로 이달의 한국판뉴딜에 선정되었는지, 무슨 일을 하는 기업인지 궁금합니다.

최대환 앵커>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창업, 축산업이라는 분야에 적용이 됐습니다.
축산업과 빅데이터, 쉽게 연상이 되지 않는 조합인데, 축산업에서 데이터가 어떤 중요성이 있다고 보면 이해가 쉬울까요?

최대환 앵커>
정부가 공개한 데이터 중에서 특히 어떤 정보들을 눈여겨 보셨던 건가요?

최대환 앵커>
듣고 보니 굉장히 방대한 양의 데이터 였을 것 같은데, 이런 데이터 가공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 건가요?
애니멀 데이터 랩이라는 멋있는 프로젝트 이름이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최대환 앵커>
또 이렇게 데이터로 축산 노하우를 최적화하는게 분뇨나 온실가스 배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소개를 봤는데요, 흥미로운 부분인데.
관련해서 조금 더 설명을 부탁 드려도 될까요.

최대환 앵커>
데이터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석유다, 라는 말도 있던데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보면 누구보다 먼저 그걸 발견하신 것 같기도 합니다.
어떻게 이런 관심을 가지게 되셨는지 개인적인 이야기도 좀 여쭤봐도 될까요?

최대환 앵커>
공공데이터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별다른 어려움은 없으셨는지, 또 이용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지원도 있었는지요?

최대환 앵커>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이처럼 새로운 도전을 해 볼 다른 분들께 조언 한 마디 해주신다면요?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나영준 주식회사 앤틀러 대표이사와 함께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