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다시 격동하는 한반도 정세···남북미 대화 가능성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다시 격동하는 한반도 정세···남북미 대화 가능성은?

등록일 : 2021.08.03

최대환 앵커>
북한이 남북 통신선 복구 후 첫 대남메시지를 냈습니다.
김여정 당 중앙위 부부장 명의인데요.
일단 그 형식에서 지난해와 올해 초 내놨던 원색적인 비난이 사라졌다는 것이 눈에 띕니다.
통신선 복구라는 정상간의 결정을 존중하는 뜻으로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외에 이번 담화에서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부분은 한미연합 훈련에 대한 태도입니다.
사실 북한은 한미연합훈련을 전후해 늘 원색적인 어투로 비난해왔는데요, 오히려 이번엔 과거보단 상당히 수위를 낮췄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식의 담화와 그에 대한 쟁점화가 문 대통령 임기 내 이제 얼마 남지 않은 대화의 기회에서 우리 정부의 운신폭을 줄이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남북대화가 더 이른 시일 내에 시작될 필요도 있어 보이는데요.
관련 내용 전문가와 짚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과 함께합니다.

(출연: 홍현익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최대환 앵커>
지난 1일, 북한과의 통신선 복구 이후 북한의 대남 메시지가 나왔습니다.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명의였는데요, 일단 메시지 내용을 놓고는 어제 하루 상당히 부정적인 분석이 많았습니다.
한미연합훈련을 언급해 우리 정부 운신폭을 좁히는 거 아니냐, 이런 얘긴데요.
어떻게 보셨는지요?

최대환 앵커>
그런데, 북한의 담화는 그 형식도 주요 관심 대상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담화 역시 전체적인 톤을 살펴야된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한편 지난달 28일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오랜만에 공식석상에 나섰지만 대외 메시지에는 말을 아꼈거든요.
이것도 연관해서 생각해볼 수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관련해서 북한의 메시지를 더 정확히 이해하려면 최근 내부사정도 좀 짚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지난 달 30일 한국은행이 2020년 북한 경제 성장률 추정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상당히 심각한 상황으로 분석되지 않았습니까?

최대환 앵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라는 보고가 나오고 있는데요, 문제는 이게 현재진행형 이라는 거겠죠?

최대환 앵커>
이 때문에 일단 최소한의 인도적 지원, 이를 통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시각이 분명해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평가하세요?

최대환 앵커>
이러한 접근법에 대해 미국은 어떤 입장을 취할지도 궁금한 대목인데, 아직까지 뚜렷한 전략이 보이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요.
다만 미중 갈등 구조가 미국과 북한의 대화를 촉발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적인 분석도 나오는 것 같은데, 이 이야기는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어떤 전략을 취해 나가야 할지 궁금한데요.
관련해서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과 함께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