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호랑이 기운으로 여는···2022년 임인년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호랑이 기운으로 여는···2022년 임인년

등록일 : 2022.01.03

최대환 앵커>
“조선 사람은 반년 동안 호랑이 사냥을 하고, 나머지 반년 동안은 호랑이가 조선 사람을 사냥한다.”
120여 년 전, 조선을 찾은 영국인 선교사, 비숍이 여행기에 남긴 글귀입니다.
호랑이에게 당하는 화라는 의미의 호환과 천연두를 뜻하는 마마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호랑이는 두려움의 대상이었는데요.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 ‘호환’과 관련된 기록이 무려 300건이 넘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호랑이는 풍자의 대상이기도 했는데요.
해님 달님과 같은 전래동화에서는 호랑이가 주인공의 꾀에 넘어가는 해학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습니다.
2022년 임인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로 불리는데요.
잠시 후 이어지는 대담에서 호랑이와 관련된 우리 민족의 문화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가회민화 박물관의 윤열수 관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 관장)

최대환 앵커>
2022년 임인년은 호랑이해인데요.
그중에서도 검은 호랑이의 해라고 합니다.
올해가 검은 호랑이해가 된 배경과 의미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호랑이가 우리 민족의 이야기에 처음 등장 하는 것은 아마 단군신화가 아닐까 싶은데요.
단군신화에서는 곰과 호랑이 중 곰이 우리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곰보다 호랑이가 우리 문화에 자주 등장하게 되었을까요?

최대환 앵커>
우리를 포함한 동양권에서는 하얀 호랑이인 백호를 영험한 동물로 묘사했는데요.
청룡과 주작, 현무와 함께 신격화 되었습니다.
그만큼 우리 민족이 호랑이를 신성시했다는 것이 드러나는 것이겠죠?

최대환 앵커>
조선시대 기록을 살펴보면 유난히 호랑이에게 화를 입은, 호환에 관한 이야기가 많은데요.
조선시대 호랑이와 관련된 생활상에는 어떤 이야기가 있습니까?

최대환 앵커>
'호랑이가 담배피던 시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 문화에서는 호랑이를 희화화 시켰는데요.
두려움의 대상인 호랑이가 이렇게 재미있게 그려진 배경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조선 시대의 민화를 살펴보면 유독 많이 보이는 그림이 바로 까치와 호랑이인데요.
복을 알려주는 까치가 호랑이와 함께 등장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최대환 앵커>
이외에도 호랑이와 관련된 민화로 어떤 그림들이 있나요?

최대환 앵커>
마지막으로 많은 국민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2022년 임인년, 호랑이띠 해를 맞아서 마무리 덕담 한 말씀 부탁 드리겠습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가회민화 박물관의 윤열수 관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