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6월 1일자 사설을 통해 한국정책방송, KTV가 정책홍보가 아닌 정권홍보에 앞장서고 있다면서 폐지를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책홍보와 정권홍보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조선일보 사설의 문제점을 짚어봤습니다.
최고다 기자>
KTV는 정책홍보가 아닌 정권홍보로 도배질을 하고 있다.
조선일보의 6월 1일자 보도내용입니다.
하지만 이는 허구에 불과합니다.
우선 KTV의 편성은 정책의 도입배경과 추진과정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입니다.
국정소식과 정책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국정프로그램이 전체프로그램의 약 60%,
그리고 정책을 간접적으로 소개하는 공공프로그램이 약 30%로써 정책과 무관한 정권의 일방적인 홍보에 매달리고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습니다.
편성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제작 방향을 살펴보면 조선일보의 주장은 허구에 불과함이 여실히 드러납니다.
프라임타임에 편성된 주요정책 프로그램엔 전문가 패널이나, 시청자참여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습니다.
또 외부 모니터요원들이 전체 프로그램에 80%가 넘게 프로그램을 면밀히 모니터하고, 그 결과를 제작에 반영하는 것도 정책을 객관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기존 언론의 일방적인 보도에 대항한 정부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언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시간이 갈 수록 정책을 바라보는 국민의 관점은 보다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자사와 논조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특정매체의 폐지를 운운하는 것이야말로 언론이 제일 먼저 버려야하는 구태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