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이른바 '자폭형 무인기'의 성능시험 모습을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했습니다.
러시아 무인기와 유사하다는 말이 나오는데, 우리 군 당국은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김민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민아 기자>
공중에 떠올라 목표물을 타격한 '가오리 날개형' 드론.
'엑스자형 날개' 무인기는 모의 표적으로 삼은 우리 K-2전차 모형을 산산조각 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 노동신문이 지난 2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무인기 성능시험을 지도했다며 공개한 사진입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전술적 보병 및 특수작전구분대들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자폭형 무인기들도 더 많이 개발, 생산해야한다"면서 무인기 전투적용 시험을 더 강도 높게 진행해 하루빨리 군부대들에 배치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7월, 북한은 '전승절' 열병식에서 샛별-9 등 무인 공격기를 공개한 바 있는데, '자폭형' 드론을 공개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녹취> 구병삼 / 통일부 대변인
"무인기 개발 자체는 북한의 국방과학 발전 5개년 계획에 따른 주요 과업 중 하나입니다. 자폭형 무인기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최초가 맞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무인기 2종 중 하나의 외관이 러시아산 '란쳇-3'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러북 밀착으로 러시아가 북한의 무인기 개발에 도움을 줬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쓰일 공격형 드론을 생산해 러시아에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녹취> 이창현 / 합참 공보과장
"과거에 북러 교류를 할 때 일부 선물을 하거나 그런 걸로 저희가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이 성능 개량이 됐을지, 여러 가지 다양한 방안에 대해서 분석을 해봐야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군의 군사활동은 물론, 무인기를 포함한 무기 개발 동향을 지속 추적, 감시하고 있으며 요격체계도 철저히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제공: 로이터 / 영상취재: 김태우, 홍성주 / 영상편집: 조현지)
그러면서 만약 북한이 도발하면 즉·강·끝 원칙에 따라 압도적이고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KTV 김민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