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세계 최빈국있던 대한민국은 반세기만에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는데요.
광복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경제 발전을 이끌어온 주요 산업들을 짚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그 첫 번째로, 세계 1위 조선 강국 신화를 기록한 우리나라 '조선업'이 걸어온 역사와 글로벌 해양 패권 경쟁 속 마주한 과제를 짚어봅니다.
이신형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나오셨습니다.
(출연: 이신형 /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차현주 앵커>
먼저 현재 우리나라 조선업은 세계적으로 어느 수준에 와 있다고 평가하시나요?
차현주 앵커>
그렇다면 우리나라 조선업은 언제, 어떤 배경과 이유로 발전하기 시작했나요?
차현주 앵커>
정주영 창업회장이 조선소를 세우게 된 과정이 순조롭지만은 않았다고요?
영상으로 당시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영상에서 정주영 창업회장이 이야기한 울산조선소 건설을 과정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 해주시죠.
차현주 앵커>
한국 조선업이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그렇다면 1970년부터 이어진 한국 조선업의 주요 역사적인 사건들은 무엇이 있나요?
차현주 앵커>
한국 조선업이 세계적으로부터 인정받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차현주 앵커>
조선업 발전이 한국 경제와 국가 브랜드에 미친 영향, 그리고 광복 80주년을 맞아 우리나라 조선업이 갖는 상징적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차현주 앵커>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막판 타결을 이끈 '마스가 프로젝트', 한국이 미국에 제안한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인데요.
이토록 미국이 한국 조선에 큰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현재 미국 조선업 상황과 함께 설명 부탁드립니다.
차현주 앵커>
미국의 이런 현실은 우리에게 어떠한 기회일까요?
그리고 현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태세를 보이면 좋을까요?
차현주 앵커>
앞으로 조선업의 미래를 바꿀 신기술이나 혁신 분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세계 1위 자리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우리나라 조선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말씀해 주시죠.
차현주 앵커>
지금처럼 조선강국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력'이 중요할 텐데요.
조선업 인력 유출, 감소가 심화 되고 있습니다.
상황에서 이를 타개할 방안은 무엇일까요?
차현주 앵커>
그렇다면 앞으로 조선업 발전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이신형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