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국산 둔갑한 '중국 금'···우회수출 14배 급증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한국산 둔갑한 '중국 금'···우회수출 14배 급증

등록일 : 2025.09.12 17:50

신경은 앵커>
한국산으로 둔갑해 미국으로 불법 수출된 중국산 금 제품이 세관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상대적으로 관세율이 낮은 한국산 지위를 악용한 건데요.
올해 들어 이렇게 적발된 '불법 우회 수출'이 지난해보다 14배 증가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박스 안에서 수십 개의 비닐봉지가 나옵니다.
미국 수출용으로 포장된 중국산 금 가공제품입니다.
그런데 미 세관에 제출할 원산지 증명서에는 '한국산'으로 기재돼 있습니다.
관세청은 지난달, 중국·베트남·인도네시아산 금 가공제품을 미국에 우회 수출한 국내 귀금속 업체 7곳을 적발했습니다.
우리 세관에는 외국산으로 신고하고, 미국 세관에는 허위 원산지증명서를 첨부해 한국산으로 속였습니다.
적발 규모는 총 2천839억 원에 달합니다.
미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이 적용된 한국산 지위를 악용한 겁니다.

전화 인터뷰> 이정환 /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아무래도 중국의 관세율은 사실은 바이든 행정부부터 굉장히 많이 올렸고, 이번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보다 올린 상태기 때문에 아무래도 관세 차원에서 우회 수출하는 것이 분명 이익이 있다 (판단해서)..."

올해 미 관세 여파로 불법 우회수출 규모가 급증했습니다.
1월부터 8월까지 적발된 우회수출은 약 3천569억 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4배 늘었습니다.
외국 기업이 한국 현지 법인을 이용하는 경우도 적발됐습니다.
포장만 바꿔 국산으로 둔갑하는 이른바 '택갈이 수법'입니다.
관세청은 미 우회수출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4월 신설한 무역안보 특별조사단 등을 통해 집중 단속할 계획입니다.
또 AI를 활용한 수출입 모니터링도 늘릴 방침입니다.
아울러 국정원, 산업부 등 국내외 기관과의 공조 수사를 확대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