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자살률 1위 국가 오명 극복"···범부처 위기 요인 대응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자살률 1위 국가 오명 극복"···범부처 위기 요인 대응

등록일 : 2025.09.12 17:50

신경은 앵커>
하루 평균 40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자살'은 심각한 사회 문제인데요.
정부가 '자살 시도자 관리'를 강화하는 등 범부처 차원의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지난 한 해 동안에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자살자는 1만4천4백여 명.
하루에 39.6명꼴, 약 36분에 1명씩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셈입니다.
정부는 앞으로 10년 안에 OECD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자살예방전략을 제시했습니다.
5년 내 자살자 수를 연간 만 명 이하로 줄인다는 목표를 내걸었습니다.

녹취> 김민석 / 국무총리
"내년 정부 예산안에는 자살 유족에 대한 심리상담, 일시 주거, 법률 행정 원스톱 서비스 등의 확대 강화 방안도 담겨 있습니다. 이제는 확실하게 국가가 책임감도 다시 한번 다지고, 목표도 다시 한번 다지고, 그래서 체계적으로 정말 이거를 우리 국가적 과제로 생각하고 줄여나가야 되겠다..."

이를 위해 위험도가 가장 높은 자살 시도자에 대한 관리를 대폭 강화합니다.
자살 시도 사고 발생 시 지자체에 있는 자살예방센터가 현장에 출동해 응급실 동행과 치료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즉각 위기 개입을 강화합니다.
자살예방법도 개정해 응급실 정보를 자동 연계해 관련 정보입수 시 즉시 긴급 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개편합니다.
일반인보다 자살 위험이 높은 유족에 대해서는 심리 상담과 임시 주거를 제공하는 원스톱 지원을 전국으로 확대합니다.
채무와 생활고, 학교폭력, 직장 내 갑질과 가족 문제 등 복합 다중적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범부처 정책 수단도 가동합니다.
그동안 복지부 중심이던 자살 대응 정책을 다른 부처와 지자체로 확대하는 겁니다.
특히 교육부는 10대 청소년층의 자살률 급증에 대응해 학교폭력 예방 지원과 심리 상담 등 학내 위기 관리를 강화합니다.

녹취> 최은옥 / 교육부 차관
"학생 마음 건강 챙기는 것은 지금 국정 과제로 저희가 챙기고 있는데요. 그 주요 내용은 이제 전문 상담 교사를 1교에 적어도 한 분은 배치한다, 2030년까지..."

아울러 고용노동부에서는 직장 내 갑질 등에 대한 엄정한 근로감독을, 금융위는 생활고를 겪는 불법추심 피해자를 대상으로 채무자 대리인 무료선임 지원 확대와 장기 연체 채권 일괄 매입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자체별 현장 인력도 확충합니다.
올해 안에 지자체별로 '자살예방관'을 따로 지정해 지역 자살 업무 총괄 책임을 맡기고 현재 지역 자살예방센터 당 2.6명인 인력을 5명으로 늘릴 방침입니다.
이 밖에도 온라인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과 차단을 강화하고, 자살 사고가 빈번한 교량과 건물에 안전장치 설치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