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속도를 더해가고 있는 우리 사회의 고령화.
전문가들은 아직 그 심각성이 피부로 느껴지지는 않지만 일이 닥치기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한다며 정부가 발표한 기본계획에 기대와 조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학계와 시민단체 등 각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부가 발표한 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섭니다.
참석한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고령화 현상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도는 떨어지는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사람들이 실감하지 못하는 것을 어떻게 느끼게 할 것인가가 이번 대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생각합니다.
기본계획 추진에 가장 중요한 재원 마련을 위한 복안도 제시됐습니다.
부처별 정책의 조율을 통해서 중복 투자를 피하고 재원도 충당하자는 겁니다.
예를 들면 노동부와 산자부의 내용이 같은 정책을 통합 조정하는 식의 노력이 필요하고 또 고령화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이 일자리 창출이란 점도 강조됐습니다.
하지만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입된 임금피크제가 악용되선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정부뿐만 아니라 일자리 생산의 주체인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밖에 노인인구 전체의 3분의 1이 넘는 대상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적들도 나왔습니다.
두 시간 넘도록 계속된 공청회에서는 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에 대해 다양한 기대와 조언이 이어졌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고령사회 대책이 지금까지 발표된 대책의 반복이 되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 논의된 내용을 적극 검토해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