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바로보기
-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대면편취‘도 구제 가능해진다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지능화 되고 있어, 지금 같은 어려운 시기에 서민들을 더욱 울리고 있습니다.정부에서는 그동안 보이스피싱 범죄 척결을 위한 대응책을 발표해왔는데요.특히 이번에는 최근들어 늘어나고 있는 가상자산이나 간편송금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대응 대책을 내놨습니다.금융위원회 민생침해금융범죄대응반 최승희 사무관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
-
보조금 절반 가져가는 MZ 노조? 오해와 진실은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언론 보도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들까지 자세히 짚어드리는 '정책 바로보기' 시간입니다.먼저 심수현 정책캐스터 전해주시죠.심수현 정책캐스터>1. 보조금 절반 가져가는 MZ 노조? 오해와 진실은기성 노조와 달리 MZ세대가 주축인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가 출범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서울교통공사와 LG전자 등 8개 기업 노조...
-
'그놈 목소리' 잡는다···세계 최초 음성 분석 개발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점점 지능화되고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는 지난 5년간 15만 건을 넘어섰으며 피해액은 3조원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보이스피싱 범죄, 알면서도 당하는 경우도 많아 국민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더욱이 범죄 예방 등을 위한 사회 경제적 비용도 급증하고 있는데요.얼마 전, 정부에서 세계 최초로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 개발에 성공...
-
“실례지만 누구시죠?”···카톡 받으면 삭제해야 하는 이유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언론 보도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들까지 자세히 짚어드리는 '정책 바로보기' 시간입니다.먼저 심수현 정책캐스터 전해주시죠.심수현 정책캐스터>1. “실례지만 누구시죠?”···카톡 받으면 삭제해야 하는 이유휴대전화 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연동되는 메신저 계정을 새로 생성하기 때문에 종종 모르는 사람이 친구 목록에 뜨기도 하는데요...
-
번개탄 생산 금지···근본적 문제 해결 없이 수단만 규제?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에서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습니다.안타까운 죽음을 막기 위해서 정부에는 2027년까지 자살률을 30% 이상 낮추겠다고 발표했는데요.그런데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정책을 두고 일각에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없는 정책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이두리 과장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
-
소상공인 돕는 지역사랑상품권, ‘이렇게’ 바뀐다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
언론 보도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들까지 자세히 짚어드리는 '정책 바로보기' 시간입니다.
먼저 심수현 정책캐스터 전해주시죠.
심수현 정책캐스터>
1. 소상공인 돕는 지역사랑상품권, ‘이렇게’ 바뀐다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역 내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
노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축소···고가 주택에 더 혜택?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걸음 씩 나아가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도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죠.
그 중 하나가 건축물 부분 그린리모델링 사업입니다.
에너지 절감의 한 부분인데요.
그런데 최근 일각에서 그린리모델링 사업이 취약계층보다는 부자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는다며 지적하고 있는데요.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 김태오...
-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신고 기업은 ‘0’? 오해와 진실은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
언론 보도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들까지 자세히 짚어드리는 '정책 바로보기' 시간입니다.
먼저 심수현 정책캐스터 전해주시죠.
심수현 정책캐스터>
1.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신고 기업은 ‘0’? 오해와 진실은
정부는 2021년 세법개정을 통해 반도체, 배터리, 백신 등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법인세 감면율을...
-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피해 예측 통계 엉터리다?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
한 번 걸리면 100% 고사하는 '소나무재선충병'은 지난 1988년 부산에서 최초로 발생했는데요.
산림을 황폐화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대유행을 우려해 정부가 많은 방제예산을 투입하는데, 문제는 예산편성의 기초가 되는 피해 예측이 부실하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김명관 과장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
-
위기에 몰린 소아진료···'이렇게' 개선됩니다. [정책 바로보기]
최대환 앵커>
언론 보도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들까지 자세히 짚어드리는 '정책 바로보기' 시간입니다.
먼저 심수현 정책캐스터 전해주시죠.
심수현 정책캐스터>
1. 위기에 몰린 소아진료···'이렇게' 개선됩니다.
저출생 등의 요인으로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전공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최근 한 언론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