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어린이보호구역 횡단보도 '일시정지' 외면
김담희 앵커>
지난 12일부터 어린이 보호구역 횡단보도에서는 차량이 일시정지하도록 도로교통법이 강화됐습니다.
얼마나 지켜지고 있을지 그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서울시 성북구)
어린이보호구역인 서울의 한 초등학교 앞 삼거리.
교통안전 도우미가 학부모들과 함께 등하교길 학생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는데요.
신호등이 있지만 교통법...
-
고유가시대 자전거 탄다, 서울시 '따릉이' 씽씽
김담희 앵커>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해 자전거 출퇴근이 인기인데요.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이용자 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마숙종 국민기자>
치솟는 기름값에 자가용 몰기가 부담되는 요즘 차를 세워 두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소현/ 서울시 중구
“요즘 기름값이 너무...
-
고물가 속 '손질 상품' 소비 확산 분위기
김담희 앵커>
약간의 흠이 있는 상품을 손질해 30퍼센트 이상 저렴하게 판매하는 매장에 소비자들의 발길이 늘고 있습니다.
알뜰구매가 이루어지는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정수연 국민기자>
('ㅋ' 리퍼브 매장 / 서울시 동작구 )
서울에 있는 한 매장, 여느 매장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곳은 리퍼브, 즉 '손질 상품'을 판매하는 곳입니다. 소비자가 반품...
-
폐건물 활용 스마트 농장, 사계절 채소 생산해요
김담희 앵커>
대구 도심에 폐건물을 활용한 스마트 농장이 들어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도심재생사업으로 이뤄진 농장은 전국에서 최초인데요.
자세한 내용 소개해드립니다
최유선 국민기자>
(인동촌스마트웰빙농장 / 대구시 서구 )
좁은 골목에 단층 주택이 많은 오래된 도심.
겉으로 보기엔 일반 건물 같지만, 안으로 들어가자 초록의 식물이 가득합니...
-
청와대에서 태권도 공연, 관람객 눈길 끌어
김민혜 앵커>
지난 5월에 개방된 청와대 관람객이 외국인 관광객을 포함해 하루평균 2만4천여 명이나 되는데요.
청와대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무예인 태권도 정기 공연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오는 8월까지 주말마다 계속될 예정인데요.
최현정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현정 국민기자>
(청와대 본관 대정원 / '태권도 국기원 ...
-
고국의 품에 안긴 문화재 40점 만나다
김민혜 앵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 등 혼란스런 시대 상황 속에서 해외로 반출된 우리 문화재들이 많은데요.
오랜 세월 해외를 떠돌다 우리 품에 안긴 소중한 문화재들이 한 자리에서 공개됐습니다.
환수 문화재 마다 사연도 다양합니다.
자세한 내용 이충옥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이충옥 국민기자>
(국립고궁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나라...
-
3년 만에 만난 팬과 선수, 뜨거운 만남의 현장
김민혜 앵커>
코로나 사태가 터지기 전만해도 프로야구 올스타전에 야구팬들이 열광하곤 했는데요.
3년만에 재개된 올스타전을 맞아 선수와 팬들이 격의없는 만남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팬 사인회 등이 열린 현장을,
최윤하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윤하 국민기자>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서울시 송파구)
3년만에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열린 잠실야구...
-
하늘 위 산업혁명, '드론' 생활 속으로
김민혜 앵커>
4차 산업혁명시대, 드론은 우리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드론은 이제 일상 곳곳으로 스며들고 있는데요.
스포츠에서 미래 교통수단까지 드론의 모든 것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드론 박람회장 고동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고동준 국민기자>
('2022 드론·UAM 박람회' 현장 / 서울시 구로구)
북청사자와 사물놀이패의 ...
-
고유가시대 자전거 탄다, 서울시 '따릉이' 씽씽
김민혜 앵커>
국제 유가 상승세가 맞물려 국내 기름값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교통비도 아끼고 건강도 챙기는 자전거 출퇴근이 인기인데요.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자 수가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났습니다.
마숙종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마숙종 국민기자>
치솟는 기름값에 자가용 몰기가 부담되는 요즘 차를 세워 두고, 대중교통이나 ...
-
탄수화물에 관한 잘못된 상식, 이제 그만!
김민혜 앵커>
언제부턴가 탄수화물이 체중 관리에 나쁘다고 생각해 쌀밥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데요.
최근 쌀밥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정부가 후속 조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임보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임보현 국민기자>
(광주시 북구)
광주에 사는 한지민 씨.점심식사를 위해 쌀밥을 그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