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전면 등교의 안정적 시행 대국민 호소
전면등교 안정적 시행 대국민 호소
유은혜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장소: 정부세종청사 제4공용브리핑룸)
-
지난해 급성심정지 발생 생존율 7.5%
박천영 앵커>
지난해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 심정지 환자 3만 명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7.5%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조사가 시작된 2006년보단 개선됐지만 1년 전보다는 감소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또 환자들의 뇌 기능 회복률은 4.9%로, 1년 전과 비교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고위험군 추가접종 속도···방역패스 '6개월'
임보라 앵커>
또 정부는 코로나19 위중증, 사망을 줄이기 위해 소아청소년 등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과, 고령층을 비롯한 고위험군의 추가 접종을 추진합니다.
방역패스의 유효기간은 6개월로 정했습니다.
이어서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신규 확진과 중증 사망을 줄이기 위해, 미접종자 접종과 고위험군의 추가 접종에 속도를 냅...
-
확진자 줄이려면 코로나 검사 중단해야 한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확진자 줄이려면 코로나 검사 중단해야 한다?
최근,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수 급감을 두고 많은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13명, 120명 등 백 명대를 기록하고 ...
-
고위험군 추가접종 속도···방역패스 '6개월'
박성욱 앵커>
또 정부는 코로나19 위중증, 사망을 줄이기 위해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과, 고위험군의 추가 접종을 추진합니다.
신경은 앵커>
방역 패스의 유효 기간은 6개월로 정했습니다.
이어서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신규 확진과 중증 사망을 줄이기 위해, 미접종자 접종과 고위험군의 추가 접종에 속도를 냅니다.
...
-
연내 먹는 치료제 도입···항체치료제 처방 확대
박성욱 앵커>
정부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에도 속도를 내 당초 내년 2월에서 올해 연말로, 도입 시기를 앞당기기로 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다음 달부턴 항체 치료제를 재택치료에 활용해, 위중증 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로 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정부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으로 경증 환자의 입원뿐 아니라 사망...
-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브리핑 (21. 11. 29. 17시)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브리핑 (21. 11. 29. 17시)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권덕철 / 보건복지부 장관
전해철 / 행정안전부 장관
유은혜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장소: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
-
'검찰연계조정' 도입···저작권 분쟁 신속 해결
박천영 앵커>
창작물을 만든 이에 대한 노력과 가치를 인정하고,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하지만 저작권법을 위반하는 사례는 꾸준하게 발생하고, 그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기소율은 11%에 불과한데요, 저작권법 위반 형사 사건에, '검찰연계조정'이 시범 시행됩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최근 검찰에 접수된 저작권...
-
소방청, 다음 달 1~8일 전통시장 화재예방 점검
박천영 앵커>
겨울철 전통 시장의 화재 예방을 위해 다음 달 1일부터 8일까지 안전 점검이 실시됩니다.
소방청은 즉시 보완이 가능한 것은 현장에서 바로 조치하고 행정명령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소관 기관에 통보한단 계획입니다.
중점점검 사항은 소방시설 폐쇄·차단 여부와 소방차량 진입 가능 여부 등입니다.
-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이 더 아프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이 더 아프다?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꺼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2차 접종 때 이상 반응으로 고생했다며 추가접종은 더 아플테니 맞지 않겠다는 건대요.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