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60세 이상 추가접종 간격 4개월로 단축
김용민 앵커>
정부가 코로나19 돌파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추가접종 간격을 단축하기로 했습니다.
60세 이상은 추가접종 간격이 기존 6개월에서 4개월로 단축됐는데요.
자세한 소식, 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혜진 기자>
지금까지 정해진 횟수대로 접종을 마친 코로나19 백신 완전접종률은 78.4%입니다.
하지만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확산과...
-
위중증 증가 계속···위험도 '5단계' 평가
김용민 앵커>
국내 코로나19 유행이 이어지면서 위중증 환자도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매주 코로나19 위험도를 5단계로 평가하고, 세부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수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수복 기자>
코로나19로 병원에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522명으로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신규 확진자...
-
기후변화 재원 참여 서약···남북 산림협력 제안
김용민 앵커>
지난 13일에 폐막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들과 함께 기후변화 재원 마련에 참여할 것을 서약했는데요.
남북 산림협력을 재개해 한반도 온실가스를 줄여나가겠단 구상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COP26에서 우리나라는 주요 정상...
-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1. 17. 14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1. 17. 14시)
최은화 /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위원장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위중증 증가···"비상계획 발동 상황 아냐"
박성욱 앵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500명에 근접하면서, 병상 가동률이 높아졌습니다.
정부는 현재 상황이 단계적 일상 회복을 멈추고, 비상계획을 발동할 시점은 아니라고 밝혔는데요.
신경은 앵커>
그러면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병상 추가 확보 상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현재까지 입원 중인 ...
-
돌파감염 대응 추가접종 간격조정 내일 발표
박성욱 앵커>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80%에 육박할 만큼 높아졌는데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예방 효과가 떨어져, 돌파 감염 추정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신경은 앵커>
이에 정부가 '추가접종 간격 조정안'을, 내일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입니다.
이수복 기자>
현재까지의 1차 접종자는 4천202만 명, 접종률은 81....
-
다주택자 비중 첫 감소···평균주택자산 3억2천400만 원
박성욱 앵커>
주택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되는 '주택 소유 통계'가 발표됐습니다.
꾸준하게 늘던 다주택자 비중은 처음으로 줄었고,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3억 2천 40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박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천영 기자>
지난해 기준 주택소유자 중 주택을 1건 소유한 사람은 전체의 84.2%, 2건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
-
위중증 증가···"비상계획 발동 상황 아냐"
김용민 앵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500명에 근접하면서 병상 가동률이 높아졌습니다.
정부는 현재 상황이 단계적 일상회복을 멈추고 비상계획을 발동할 시점은 아니라고 밝혔는데요.
그러면서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병상 추가확보 상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현재까지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모두 495...
-
돌파감염 대응 추가접종 간격조정 내일 발표
김용민 앵커>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80%에 육박할 만큼 높아졌는데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예방 효과가 떨어져 돌파감염 추정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추가 접종 간격 조정안을 내일 발표하기로 했는데요.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현재까지의 1차 접종자는 4천202만 명, 접종률은 81.8%입니다.
정해진...
-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1. 16. 14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 (21. 11. 16. 14시)
이상원 /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홍정익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