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국보 1호서 '국보 숭례문'으로···지정번호 사라진다
박성욱 앵커>
이제부터 국보 1호가 아닌, 국보 숭례문으로 불러야겠습니다.
문화재 서열화 논란이 있던 지정 번호가 오늘부터 폐지됩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서울 숭례문)
조선시대에 건립한 한양 도성의 남쪽 정문 서울 숭례문.
그동안 국보 1호로 불렸던 숭례문이 앞으로는 지정번호를 뗀 '국보 숭례문'이 됩니다.
단순히 지정 ...
-
22일부터 '전면등교'···특별점검단 운영
김용민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연일 3천 명 넘게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방역 긴장감을 높이기 위해 정부합동 특별점검단을 다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또 다음 주 전면 등교 시행에 맞춰 세부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했는데요.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오늘(19일) 0시 기준 코로나19로 병원에 입원 중인 위중증...
-
3분기 가계소득 8% 증가···소득격차도 줄어
박천영 앵커>
앵커 3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가 작성된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로, 경기 회복과 고용 시장 개선, 2차 추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용민 기자입니다.
김용민 기자>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났습니다....
-
3분기 가계소득 8% 증가···소득격차도 줄어
임보라 앵커>
전국 1인가구 이상 3분기 월평균 가계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대 상승률로 경기회복과 고용시장 개선, 2차 추경 등의 영향으로 큰 폭 상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
-
확진자 역대 최다...위중증 506명
박성욱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3천 명 넘게 나오면서, 역대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위중증 환자 수'도 고령층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모두 3천292명입니다.
이틀 연속 3천명을 넘어 코로나19 발생 후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습...
-
3분기 가계소득 8% 증가···소득격차도 줄어
박성욱 앵커>
3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났습니다.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상승률인데요.
경기 회복과 고용시장 개선, 2차 추경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김용민 기자입니다.
김용민 기자>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났습니다.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
-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11월 30일까지 납부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11월 30일까지 납부
대리기사, 퀵서비스 기사 등 소득자료 매달 제출 시작
코로나 반사이익 사적편취·편법적 부의 승계 등 불공정 탈세 혐의자 30명 세무조사 착수
납세자권리보호요청 제도부터 억울한 세금의 권리구제 절차까지
-
확진자 역대 최다···위중증 506명
김용민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3천 명 넘게 나오면서 역대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위중증 환자 수도 고령층을 중심으로 연일 늘고 있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모두 3천292명입니다.
이틀 연속 3천명을 넘어 코로나19 발생 후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
-
춤추는 식당이나 카페도 방역패스 적용?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춤추는 식당이나 카페도 방역패스 적용?
최근 식당·카페에서 춤을 추면 안 된다는 정부의 방역 지침이 알려졌습니다.
이런 기사 제목을 본 사람들은 ‘별 것을 다 규제 한다’는 반응을 보였는데요.
정확히는...
-
60세 이상 추가접종 간격 4개월로 단축
박성욱 앵커>
정부가 코로나19 돌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추가접종 간격을 단축하기로 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60세 이상의 추가 접종 간격이, 6개월에서 4개월로 줄어듭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지금까지 정해진 횟수대로 접종을 마친 코로나19 백신 완전접종률은 78.4%입니다.
하지만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확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