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국립 6·25전쟁 납북자 기념관' 착공
6.25전쟁 당시 납북된 피해자들을 추모하고, 기록을 보존하기 위한 '국립 6·25전쟁 납북자 기념관'이 오늘 파주 임진각에서 착공됐습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기념관이 완공되면.. 살아있는 역사를 교육하는 동시에,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향한.. 우리의 의지를 다지는 명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념관은 임진각 내.. 경기평화센터 건물을 ...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지역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지역회의
-
먼저 온 통일 탈북민 지원 대책은? [집중분석]
먼저 온 통일 탈북민 지원 대책은?
-
탈북민 '3만명 시대'…'이민형 탈북' 증가
앵커>
우리나라에 정착한 탈북민이, 다음달이면 3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한 이민형 탈북이 늘고있는 가운데, 정부는 탈북민 지원정책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기사내용] 9월 말 현재 국내에 거주하는 탈북민은 2만9천830여명. 최근 늘어나는 탈북 추세를 고려하면 다음달 중순쯤 탈북민 3만...
-
탈북민 '3만명 시대'…'이민형 탈북' 증가
앵커>
우리나라에 정착한 탈북민이 다음달이면 3만명이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한 이민형 탈북이 늘고 있는데요, 정부는 탈북민 3만명 시대를 맞아 지원정책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9월 말 현재 국내에 거주하는 탈북민은 2만9천830여명.
최근 늘어나는 탈북 추세를 고려하면...
-
北 인권 실태, 그 아픔을 기록한다 [집중분석]
네, 서울스튜디오입니다.
지난 9월말 출범한 북한인권기록센터.
북한 인권과 관련한 조사와 기록을 담당하게 되는데요, 그러한 기록이 가진 의미는 무엇일까요?
서두현 북한인권기록센터장 통해 들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북한인권기록보존소' 개소…통일 이후 대비
앵커>북한인권법이 시행된 지 한 달여 만에 북한인권기록보존소가 문을 열었습니다. 보존소는 앞으로 북한의 인권침해 기록을 보존관리하면서 향후 통일을 대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임상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인권 탄압국가로 지목되고 있는 북한. 국제사회의 계속된 압박과 제재 속에도 북한 주민들의 인권 상황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의 참혹...
-
'북한인권기록보존소' 개소…통일 이후 대비
앵커>
북한인권법이 시행된 지 한 달여 만에 북한인권기록보존소가 문을 열었습니다.
보존소는 앞으로 북한의 인권침해 기록을 보존관리하면서 향후 통일을 대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임상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인권 탄압국가로 지목되고 있는 북한.
국제사회의 계속된 압박과 제재 속에도 북한 주민들의 인권 상황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
北, 고위층 간부 또 탈북 내부 동요 심각 [집중분석]
네, 서울스튜디오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북한 엘리트층의 탈북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의미와 영향에 대해 얘기 나누겠습니다.
북한에서 대학 교수를 하셨던 분이죠.
NK지식인연대 김흥광 대표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
통일부 "박 대통령 발언, 北 인권 열악함 강조"
앵커>
박 대통령의 국군의 날 기념식 메시지에 대해 정부도 반응을 내놨습니다.
통일부는 "북한 주민이 겪는 열악한 인권 상황, 이에 대한 북한 당국의 책임을 지적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박근혜 대통령이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북한 주민들을 향해 한국으로 오라는 메시지를 던진 데 대해 정부가 입장을 내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