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북한인권법' 4일 시행…북한 인권 개선 체계화
앵커>
북한인권법이 오는 4일부터 시행됩니다.
민간이 하던 북한인권 관련 사업을 정부 주도로 함으로써 체계적인 북한인권 증진 노력이 이뤄질 전망인데요.
그 의미와 달라지는 점들을 박성욱 기자가 짚어드립니다.
[기사내용]
북한인권법이 모레부터 시행됩니다.
지난 2005년 17대 국회에서 처음 발의된 이후 11년 만입니다.
북한인권법은 북한 주민...
-
북한인권법 시행 주요 내용은? [집중분석]
네. 서울스튜디오입니다.
지난 달 30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북한인권법.
말씀하신 대로 오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인데요, 북한인권법 시행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얘기 나누겠습니다.
대한변호사협회 북한인권특위 김태훈 위원장,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
北 부총리 김용진 처형…"탈북민 증가는 제재 영향"
앵커> 북한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처형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3년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 처형 이후 내각 부총리급으로는 두번째입니다. 이런 가운데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최근 탈북이 증가한 것은 대북제재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북한의 공개 처형설이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통일부는 북한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처형되고, 김영철 노동당...
-
北 부총리 김용진 처형…"탈북민 증가는 제재 영향"
앵커> 북한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처형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3년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 처형 이후 내각 부총리급으로는 두번째입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최근 탈북의 증가는.. 대북제재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정유림 기자입니다. 북한의 공개 처형설이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통일부는 북한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처형되고,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
-
北 부총리 김용진 처형…"탈북민 증가는 제재 영향"
앵커>
북한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처형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3년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 처형 이후 내각 부총리급으로는 두번째입니다.
이런 가운데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최근 탈북이 증가한 것은 대북제재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북한의 공개 처형설이 사실로 확인됐습니다.
통일부는 북한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처형되고, ...
-
북한인권법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다음달 초 시행
앵커>
북한주민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북한 인권법이, 구체적인 시행령을 확정하고, 다음달 4일 시행에 들어갑니다.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2005년 처음으로 발의된 북한 인권법.
북한 주민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이 법이 11년이 지나 빛을 보게 됐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어제, 수석비서관회의)
"이제 9월 4일이면 북한인권법이 본격적...
-
북한인권법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다음달 초 시행
앵커>
북한 주민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북한인권법'이 구체적인 시행령을 확정하고 다음달 4일 시행에 들어갑니다.
자세한 내용, 정유림 기자가 전합니다.
지난 2005년 처음으로 발의된 북한 인권법.
북한 주민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이 법이 11년이 지나 빛을 보게 됐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어제, 수석비서관회의)
"이제 9월 4일이면 북한...
-
北 고위층 연쇄 탈북, 북한 내부 움직임은? [집중분석]
북한 엘리트층의 탈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그 배경은 무엇이고,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 보겠습니다.
김초희 아나운서.
네, 서울스튜디오입니다.
태영호 북한 공사의 망명 이후 블라디보스톡에서의 북한 외교관 탈북까지 엘리트층의 탈북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북한 내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요?
...
-
"연쇄 탈북, 북한 내부 불안정성 커졌기 때문"
앵커>
태영호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의 탈북에 이어서, 최근 일부 언론은, 러시아 주재 북한 외교관의 탈북소식을 보도했습니다.
통일부는 이런 연쇄 탈북현상이,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보도에 곽동화 기자입니다.
통일부는 최근 북한 해외파견 인사의 연쇄 탈북과 관련해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진단했습니다...
-
"연쇄 탈북, 북한 내부 불안정성 커졌기 때문"
앵커>
태영호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의 탈북에 이어, 최근 일부 언론은 러시아 주재 북한 외교관의 탈북소식을 보도했습니다.
통일부는 이같은 연쇄 탈북현상이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통일부는 최근 북한 해외파견 인사의 연쇄 탈북과 관련해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진단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