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회
-
대통령실 브리핑 (25. 07. 09. 10시)
대통령실 브리핑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장소: 대통령실 브리핑룸)
-
'스마트농업 확산 정책' 차질 없이 추진 중···시설면적 16% 보급 [정책 바로보기]
김유영 앵커>언론 속 정책에 대한 오해부터 생활 속 궁금한 정책까지 짚어보는 정책 바로보기입니다.우리나라의 스마트농업 도입률이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사실 확인해보고요.'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어디에서 써야 할지 사용처, 알아봅니다.1. '스마트농업 확산 정책' 차질 없이 추진 중···시설면적 16% 보급최근 언론 보도에서 '고령화 ...
-
이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이끌 컨트롤타워 신설"
김경호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방산 4대 강국 도약을 위한 컨트롤 타워 신설을 검토하라고 주문했습니다.방위 산업의 날을 맞아 국방의 근간이자 경제 성장의 동력인 방위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건데요.이 대통령은 방학철에 대비해 어린이 안전 대책도 점검하라고 지시했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제30회 국무회의(장소: 용산 대통령실)국무회의를...
-
'국가핵심기술' 보호 강화···해외 유출 시 벌금 최대 65억
김경호 앵커>국무회의 안건도 살펴봅니다.최근 우리 기술의 해외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가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보호망을 한층 더 강화합니다.기술을 해외로 빼돌릴 경우 최대 65억 원의 벌금이 부과됩니다.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 ske0610120@korea.kr>1. 핵심기술 해외 유출 시 최대 65억 원 벌금 부과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자동차....
-
"방위산업, 안보 넘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
모지안 앵커>방위산업의 날을 맞아 이재명 대통령이 방산업체 관계자들과 공개 토론회를 가졌습니다.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이 미래 먹거리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박지선 기자입니다.박지선 기자>방위산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국가기념일로 신설된 방위산업의 날.7월 8일 난중일기에 기록된 거북선의 첫 출전일로 국토 수호 의지와 독자...
-
"10×3 플랜 추진"···국민참여 K-토론나라 격주 운영
모지안 앵커>김민석 국무총리가 첫 30일 업무계획을 공개했습니다.안전과 질서, 민생의 3대 국정과제를 속도와 소통, 성과 등 3대 방식으로 풀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국민의 새벽을 지키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며 취임 일성을 밝혔던 김민석 국무총리.녹취> 김민석 국무총리"국민께는 새벽을 지키는 새벽 총리로서 제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
서울, 7월 상순 역대 최고 더위···전국 대부분 '폭염 경보'
모지안 앵커>서울 기온이 한때 37.5도를 넘어서며 7월 상순 기준 역대 가장 더운 날씨를 기록했습니다.전국 대부분 지역에도 폭염 경보가 내려지며 체감온도 35도를 웃도는 곳이 많았는데요.최다희 기자입니다.최다희 기자>(장소: 대전시 서구)뜨거운 태양 아래 달궈진 아스팔트 위로 아지랑이가 피어오릅니다.시민들은 그늘막 아래 몸을 숨기거나, 양산을 쓴 채 서둘...
-
기후에너지 TF 신설···전세사기 피해자 간담회 진행
김경호 앵커>국정기획위원회가 기후에너지 관련 국정과제를 조율할 전담팀을 신설합니다.전세사기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도 개최할 예정입니다.윤현석 기자입니다.윤현석 기자>새 정부의 기후에너지 관련 정책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기후에너지 TF가 국정기획위원회에 새롭게 마련됩니다.TF에는 경제1분과와 2분과, 사회2분과, 외교안보분과 등 거의 모든 분과가 참여해 기후...
-
이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이끌 컨트롤타워 신설"
김경호 앵커>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방산 4대 강국 도약을 위한 컨트롤 타워 신설을 검토하라고 주문했습니다.방위 산업의 날을 맞아 국방의 근간이자 경제 성장의 동력인 방위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건데요.이 대통령은 방학철에 대비해 어린이 안전 대책도 점검하라고 지시했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제30회 국무회의 (장소: 용산 대통령실)국무회의...
-
'국가핵심기술' 보호 강화···해외 유출 시 벌금 최대 65억
김경호 앵커>국무회의 안건도 살펴봅니다.최근 우리 기술의 해외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가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보호망을 한층 더 강화합니다.기술을 해외로 빼돌릴 경우 최대 65억 원의 벌금이 부과됩니다.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 ske0610120@korea.kr>1. 핵심기술 해외 유출 시 최대 65억 원 벌금 부과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