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회
173,928개의 콘텐츠가 검색되었습니다.
-
"폭염 전력수요 급증에 철저히 대비"
김용민 앵커>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워 전력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정부는 모두가 안심하고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세라 앵커>
오늘 국정현안 점검조정회의 소식, 이혜진 기자가 전합니다.
이혜진 기자>
올여름 최대 전력수요는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
모빌리티 혁신위원회 출범···"민간 주도·정부 지원"
김용민 앵커>
자율주행차 등 모빌리티 혁신을 위해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모빌리티 혁신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
위원회는 민관이 함께 고민해 오는 8월까지 혁신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최유선 기자입니다.
최유선 기자>
(장소: 오늘 오후, TES이노베이션센터(경기 동탄))
경기 동탄의 한 물류 센터.
무거운 상자들이 로봇 위...
-
대전·대구·경남 6개 지역 투기과열지구 해제
윤세라 앵커>
정부가 오늘 대전 유성 등 6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된 곳은 대전 동구와 중구, 서구 유성구, 대구 수성구, 경남 창원 의창구입니다.
이와 함께 대구 동구와 중구 달서구, 여수시와 광양시를 비롯해 안산시와 화성시내 3곳 등 14곳에 대한 조정대상지역도 해제했습니다.
-
인터넷사업자, 지난해 불법촬영물 2만7천 건 삭제
윤세라 앵커>
지난해 인터넷 사업자들이 이용자 신고에 따라, 2만7천여 건의 불법촬영물과 허위영상물,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삭제하고, 접속차단 조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밝힌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 등 87개 사업자는 지난해 불법촬영물 등에 대한 신고기능 강화 등 다양한 유통방지 노력과 책임자 배치 등을 시행했습니다.
-
쓸쓸한 고독사 그만···'우리동네 돌봄단'이 살핀다 [우리동네 개선문]
김용민 앵커>
생활 속 불편사항을 찾아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개선 과정을 취재하는 우리동네 개선문 시간입니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우리나라에서, 고독사에 대한 우려는 점차 커져 가고 있는데요.
윤세라 앵커>
서울 양천구가 독거 노인 등을 위한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
-
외국인 투기 STOP···갯벌도 쉽니다 [S&News]
이리나 기자>
# 외국인 투기 엄단
정부가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에 칼을 뽑아 들었습니다.
내국인들은 대출 등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사이 비교적 규제에서 자유로운 외국인들이 편법 대출로 투기성 주택 매매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외국인 주택 거래 건수는 전체 거래량의 1% 미만이지만 집값 상승세를 보인 지난해에는 8천...
-
외국인 투기 STOP···갯벌도 쉽니다 [S&News]
이리나 기자>
# 외국인 투기 엄단
정부가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에 칼을 뽑아 들었습니다.
내국인들은 대출 등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사이 비교적 규제에서 자유로운 외국인들이 편법 대출로 투기성 주택 매매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외국인 주택 거래 건수는 전체 거래량의 1% 미만이지만 집값 상승세를 보인 지난해에는 8천...
-
1분기 손실보상금 신속보상 시작···첫 열흘 5부제 신청
임보라 앵커>
올해 1분기분 손실보상금지급액이 확정된 소상공인에게 오늘(30일)부터 신속보상이 시작됐습니다.
신청 첫 열흘 동안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 5부제로 운영되는데요.
김경호 기자가 손실보상금 지급 일정과 7월 달라지는 고용·산재보험 소식 전해드립니다.
김경호 기자>
1. 손실보상금 신속보상 시작, 첫 열흘 5부제 신청
김경호 기자...
-
중부지역 300㎜ '폭우'···주택 침수 등 피해 속출
김경호 앵커>
밤사이 100∼300㎜에 달하는 장대비가 쏟아진 중부지역에 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일부 주택과 도로가 침수되고, 나무가 쓰러지는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신고됐지만,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인터넷사업자, 지난해 불법촬영물 2만7천 건 삭제
김경호 앵커>
지난해 인터넷 사업자들이 이용자 신고에 따라 2만7천여 건의 불법촬영물과 허위영상물,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삭제하고 접속차단 조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밝힌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 등 87개 사업자는 지난해 불법촬영물 등에 대한 신고기능 강화 등 다양한 유통방지 노력과 책임자 배치 등을 시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