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시청자 의견

KTV 는 시청자 여러분의 의견을 프로그램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 특정인을 비방하는 내용, 상업적 게시물, 시청 소감과 관계없는 내용 등은 공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시청소감의 내용들에 대한 답변은 등재되지 않습니다.
  • 해당 프로그램 페이지에서 시청자 소감 작성 및 댓글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대학교 박물관 ‘현장강좌가 있는 역사문화기행’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채민미(coa**)
조회 : 1061
등록일 : 2008.10.20 15:45
“더불어 퇴계선생 걷던 오솔길을 거닐다”
- 두 번째 안동 기행 -

어제의 햇볕으로 오늘이 익는 / 여기는 안동 / 과거로서 현재를 대접하는 곳

시인 유안진은 고향 안동을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조선대학교 박물관(관장 이기길)이 꼿꼿한 옛 정신과 단아한 선비문화가 대접하는 안동의 현재 속으로 떠나는 여행길을 마련합니다.
청량산과 낙동강의 수려함을 거느린 듯, 빌려 쓰는 듯... 자연과 한 치의 어긋남이 없이 자리한 농암종택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퇴계선생 거닐었다는 강변길 산책으로 하루 일정을 시작합니다.
도산서원과 유교문화박물관에서 옛 선비정신을 만나고 항일운동의 산실이었기에 퇴락을 감내해야 했던 고성이씨 종택, 임청각을 거칩니다.
깊은 가을이 내려앉은 봉정사에서는 영산암 우화루에 걸터앉아 잠깐 숨을 돌리고 하회마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부용대에 올랐다가 휘몰아치는 역사의 한 가운데서도 꼿꼿함을 잃지 않았던 서애 유성룡의 병산서원에서 일정을 마무리 합니다.
짧은 여정이지만 여전히 ‘눈비도 글 읽듯이 내리고 바람도 한 수 읊어 지나가는’ 안동의 정갈함을 부족함 없이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일 정 : 2008년 11월 7일(금) 오후 6시 출발 ~ 8일(토) 1박 2일
묵을 곳 : 안동 농암종택
안내강사 : 김성규(『안동, 결코 지워지지 않는 그 흔적을 찾아서』저자)
모집인원 : 40명 참가회비 : 60,000원
문의 및 접수 : 조선대박물관 (230-6333)
전화 접수 후 입금으로 접수 완료
광주은행 ***-***-****** 예금주 : 조선대박물관

보도부탁드립니다. 조선대박물관